세종대왕 탄신일에 열린 외국인 받아쓰기 대회

정효진 기자
15일 서울 종로구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외국인 받아쓰기 대회가 열리고 있다. 정효진 기자

15일 서울 종로구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외국인 받아쓰기 대회가 열리고 있다. 정효진 기자

세종대왕 탄신일인 15일 서울 종로구 국립민속박물관에서 2024 외국인 받아쓰기 대회가 열렸다. 참가자들은 아나운서가 읽어주는 문장을 세 번 듣고 맞춤법과 띄어쓰기를 지켜 바르게 써야 한다. 46개국 92명의 외국인이 참여해 받아쓰기 실력을 겨뤘다.

‘대한민국은 사게저리 있는 나라입니다’, ‘바람이 푼다’, ‘빤짝빤짝’ 등 오답을 써낸 참가자들은 쓰고 있던 모자를 벗으며 아쉬워했다. 한 참가자는 ‘한글은 세종대왕이 만든 글자입니다’ 문제를 풀면서 익숙한 듯 ‘세종대왕님’이라고 썼다가 정답을 고치기도 했다.

참가자들의 한국어 실력도 다양했다. 첫 번째 문제부터 탈락한 참가자들이 있는가 하면, 제일 좋아하는 단어로 ‘균형’을 꼽은 한 참가자는 “모두가 삶의 균형을 찾으려고 노력하는 것 같다”고 말해 심사위원들의 탄성을 자아냈다. 마지막까지 남은 참가자는 상금 300만 원을 받는다.

[정동길 옆 사진관] 세종대왕 탄신일에 열린 외국인 받아쓰기 대회
[정동길 옆 사진관] 세종대왕 탄신일에 열린 외국인 받아쓰기 대회
[정동길 옆 사진관] 세종대왕 탄신일에 열린 외국인 받아쓰기 대회
[정동길 옆 사진관] 세종대왕 탄신일에 열린 외국인 받아쓰기 대회
[정동길 옆 사진관] 세종대왕 탄신일에 열린 외국인 받아쓰기 대회
[정동길 옆 사진관] 세종대왕 탄신일에 열린 외국인 받아쓰기 대회

Today`s HOT
미국의 폭설로 생겨난 이색 놀이 인도네시아의 뎅기 바이러스로 인한 소독 현장 인도네시아의 설날을 준비하는 이색적인 모습 휴전 이후의 가자지구 상황
가자-이스라엘 휴전 합의, 석방된 팔레스타인 사람들 다수의 사망자 발생, 터키의 한 호텔에서 일어난 화재..
중국의 춘절을 맞이하는 각 나라들의 모습 각 나라 겨울의 눈보라 치고 안개 덮인 거리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식 베를린 국제 영화제 위한 곰 트로피 제작 세계 지도자 평화와 화합 콘서트의 홍타오 박사 타이둥현 군 기지를 시찰하는 라이칭 테 대만 총통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