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올 성장률 전망치 2.6%로 높여…“본격적인 경기 회복은 해 넘겨야”

박상영 기자

반도체 수출 회복 0.4%P ↑

기준금리 인하 필요성 시사

건전재정 언급 ‘지원금’ 비판

KDI, 올 성장률 전망치 2.6%로 높여…“본격적인 경기 회복은 해 넘겨야”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상향조정했다. 반도체를 중심으로 수출과 설비투자가 회복한 영향이다. 다만 지난해 경기 부진을 만회하는 수준인 만큼 본격적인 경기 회복 시점은 내년으로 전망했다. 경기 회복세를 고려해 추가적인 부양책의 필요성은 낮다고도 지적했다. 더불어민주당이 주장하는 ‘25만원 지원금’을 겨냥한 것으로 해석된다.

KDI는 ‘2024년 상반기 경제전망’을 통해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6%로 상향조정했다고 16일 밝혔다. 올해 1분기 성장률이 1.3%로 예상을 크게 웃돌면서 직전 경제성장률 전망치(2.2%)보다 0.4%포인트 높였다. KDI의 성장률 전망치는 무디스·한국금융연구원(2.5%)보다 높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같다.

KDI는 설비투자와 수출이 올해 성장세를 주도할 것으로 예상했다. 반도체 경기 상승으로 올해 설비투자 증가율은 지난해(0.5%)보다 높은 2.2%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수출도 반도체를 중심으로 올해 5.6% 늘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KDI는 이 같은 성장세는 지난해 경기 부진을 만회하는 수준이라고 분석했다. 앞으로도 1분기처럼 ‘깜짝 성장’이 지속하기에는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다. 월 단위로 집계되는 산업생산 지표가 여전히 완만한 증가세에 머무르고 있기 때문이다.

KDI는 내수도 고금리 기조가 이어지면서 소비와 투자가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민간소비의 경우 고금리 기조 영향으로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1.8% 증가하는 데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건설투자도 부동산 경기 하락에 따라 올해는 전년 대비 1.4%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내년 경제성장률은 2.1%로 전망했다. KDI는 중립 수준으로의 경기 회복은 내년에 이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6%로 전망했다. 물가 상승세는 상반기 3.0%에서 하반기 2.3%로 둔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KDI는 물가를 반영해 현재 3.50%인 기준금리를 낮출 필요가 있다고도 언급했다. KDI는 “근원물가의 상승률이 지속적으로 하락해 물가 안정 목표에 근접했으므로 높은 인플레이션이 지속할 우려는 상당 부분 완화됐다”고 판단했다.

KDI는 추가적인 경기 부양 정책에 대해서는 선을 그었다. KDI는 “경기가 점차 회복될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에서 관리재정수지 적자 폭을 점차 축소하며 재정건전성 유지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경기 침체 시기를 대비해 평상시에 재정 여력을 충분히 확보해둘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는 민주당이 추진 중인 ‘25만원 민생회복지원금’을 우회적으로 비판한 것으로 풀이된다.


Today`s HOT
태국의 심각한 미세먼지.. 대기 오염을 초래하다. 놀란 마을 주민들, 멜버른에서 일어난 주택 붕괴.. 일본 경제의 활성화, 관광객들의 신사 유적지 방문 새해 맞이 번영 기원, 불가리아 수바 의식
전쟁으로 얼룩진 이스라엘 군인의 장례식.. 브뤼셀에서 열린 근로 조건 개선 시위
독일 연방의회 선거 앞둔 후보자들의 활동 차별 종식, 인도에서 열린 트랜스젠더들의 집회
에티오피아의 지진.. 주민들의 대피 주님의 축일 맞이 아기 세례 강물에 입수하는 풍습, 네팔 마다브 나라얀 축제 산불로 피해 입은 캘리포니아주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