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인협 조사 BIS 지수 95.5
27개월 연속 부정적 전망치
경기 침체 장기화로 국내 기업들의 경기 전망은 여전히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반도체 경기 전망은 호전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경제인협회는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경기실사지수(BSI)를 조사한 결과 올해 6월 BSI 전망치가 95.5를 기록했다고 21일 밝혔다. BSI 전망치는 2022년 4월 이후 27개월 연속 100을 밑돌고 있다.
BSI가 기준치인 100보다 높으면 경기 전망에 대한 긍정 응답이 부정보다 많고, 100보다 낮으면 부정 응답이 더 많은 것을 의미한다.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 BSI는 95.9로, 올해 3월(100.5) 기준선 100을 초과한 이후 석 달 연속 기준선 아래에서 머물렀다.
세부 업종별로는 여름 특수가 기대되는 섬유·의복 및 가죽·신발(107.7)과 반도체 특수에 따른 전자 및 통신장비(105.9)가 호조 전망을 보였다. 특히 반도체가 포함된 전자 및 통신장비가 기준선 100을 돌파한 것은 2022년 10월 이후 21개월 만이다.
비제조업 BSI도 95.2로 올해 1월부터 6개월 연속 100을 밑돌고 있다. 도·소매(94.3), 정보통신(94.1), 건설(90.9), 여가·숙박 및 외식(85.7), 전기·가스·수도(73.7) 등에서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방학 수요 증가가 기대되는 운수 및 창고(115.4)와 전문, 과학·기술 및 사업지원 서비스(115.4)의 업황 개선이 예상됐다.
부문별 전망치를 살펴보면 수출(101.0)이 중동 정세의 완화와 반도체 호조 등으로 긍정적 전망으로 전환됐다. 수출이 기준선 100을 웃돈 것은 2022년 4월(97.4) 이후 27개월 만이다.
수출을 제외한 나머지 부문들은 부정적 전망이 이어졌다. 자금 사정(94.0), 투자(95.8), 채산성(96.3), 내수(95.5), 고용(96.9), 재고(102.6) 등 모든 부문에서 전망은 어두웠다. 재고는 기준선 100을 넘으면 재고 과잉을 의미한다.
올해 5월 BSI 실적치는 96.9로, 전월(94.9) 대비 2.0포인트 상승했지만, 기업들의 실적 악화는 이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