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나이롱환자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나이롱환자

[임의진의 시골편지]나이롱환자

어디서 강연을 하는데 한 젊은이가 “체중조절 좀 하고 오께요” 한다. 알아듣지 못해 무슨 소리냐 물으니 화장실 가보겠단 소리래. 나이가 먹은 것도 서러운데 위트 있는 말을 꿀꺽 알아먹지 못하고 감도 매우 물러졌다. 어르신들이 인생의 후회를 보통 3가지 들던데, 좀 더 참을 걸 버럭 화부터 낸 점, 좀 더 베풀 걸 옹졸했던 심보, 좀 더 즐길 걸 일벌레로 지나온 세월이 그것이다. 여기에 보탤 게 수도 없이 많은데, 공부할 때 할 걸 기회를 놓친 일, 유머를 장착하여 웃고 살 걸 마냥 진지충, 고약한 성질머리와 안하무인으로 악명을 떨치는 자들이 장수도 하니 적어도 이 땅은 하느님이 부재한 요지경 세상이렷다.

둘러보니 우리 동네 여러 곳 난데없이 펜션이라 써 붙인 건물들이 보인다. 펜션(Pension)이란 말의 어원은 은퇴 후 받는 ‘연금’이라덩만. 유럽의 변두리 산골짝 노인 중에 제집을 고쳐 민박사업을 시작. 며칠 묵으러 온 손님과 말동무를 삼으며 여생을 보내는 방법이 펜션 숙박업이다. 이도 저도 사람이 밉고 싫으면 국립호텔 교도소가 기다린다. 그런 ‘폭망각’으로 인생을 마무리하지는 맙시다들~. 또 늙어서 가게 되는 요양병원은 놀러 가는 펜션이 아니렷다. 이름만으로도 춥고 외롭고 충분히 서럽지. 쭉쭉 늘어나며 눈속임을 하는 ‘나이롱환자’도 젊었을 적 얘기. 노약자란 ‘노련하고 약삭빠른’ 사람이라지만, 팔다리 쑤시고 뱅뱅 어지럼증에 시달리면 오리지널 노약자가 된다. “점심은 잘 드셨나요?” 묻자 “나이만 많이 묵었네” 처절한 대답이 돌아와. 나도 엊그제 병문안 간 김에 서둘러서 살살 아픈 곳 진찰을 받았다. 이러다가 내가 문병을 받을 신세가 되면 어쩐다지 잔뜩 쫄았다. 그래도 의사 선생이 대학병원에 가보란 소린 안 해 안심하고 귀가. 담배 태우는 나이롱환자처럼 싱글벙글 궁둥이를 흔들며 ‘토꼈다’. 병원은 가까워야 좋지만 멀면 또 멀어서 감사해라. ‘입원’ 말고 ‘이번’엔 진짜 좋은 시간 가져야지. 시인

  • AD
  • AD
  • AD

연재 레터를 구독하시려면 뉴스레터 수신 동의가 필요합니다. 동의하시겠어요?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콘텐츠 서비스(연재, 이슈, 기자 신규 기사 알림 등)를 메일로 추천 및 안내 받을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아니오

레터 구독을 취소하시겠어요?

구독 취소하기
뉴스레터 수신 동의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안녕하세요.

연재 레터 등록을 위해 회원님의 이메일 주소 인증이 필요합니다.

회원가입시 등록한 이메일 주소입니다. 이메일 주소 변경은 마이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
보기
이메일 주소는 회원님 본인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합니다. 이메일 주소를 잘못 입력하신 경우, 인증번호가 포함된 메일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뉴스레터 수신 동의
닫기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로 인증메일을 발송했습니다. 아래 확인 버튼을 누르면 연재 레터 구독이 완료됩니다.

연재 레터 구독은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