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오징어게임’ 세계관 더 작게 쪼개자 조언”

박은경 기자

테드 서랜도스 CEO, NYT 인터뷰

10년 동안 투자자 찾아 헤맨 ‘오징어게임’

넷플릭스, 세계관 축소하라고 조언

넷플릭스 제공

넷플릭스 제공

넷플릭스의 테드 서랜도스 공동 최고경영자(CEO·59)는 26일(현지시간) “우리는 이제 전 세계 곳곳에서 콘텐츠와 훌륭한 스토리를 얻을 수 있는 새로운 시대에 진입하고 있다”며 대표적 사례로 황동혁 감독의 <오징어 게임>을 꼽았다.

서랜도스는 이날 미 뉴욕타임스(NYT)와의 인터뷰에서 “(넷플릭스에서는) 당신이 좋아하는 작품 바로 옆에서, 이전엔 볼 방법도 없었거나 알지도 못했던 한국이나 이탈리아, 스페인에서 만들어진 놀라운 스토리를 발견할 수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서랜도스는 대표적 사례로 황 감독의 <오징어 게임>을 꼽았다. 그는 “<오징어 게임>의 감독은 영화로 제작하기 위해 10년 동안이나 투자자를 찾아 헤맸다”며 “계획을 사실상 포기한 상태였을 때 한국의 넷플릭스 팀을 만났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한국의 넷플릭스팀이 황 감독에게 “스토리는 훌륭하지만 세계관이 큰 것 같다. 세계관을 좀 더 작게 쪼개고 세계관에 대한 설명을 좀 더 붙이는 게 어떻겠냐”라고 조언했다고 전했다. 이어 “황 감독이 각본을 쓰기 시작해 <오징어 게임>을 만들었다”며 “그 작품은 넷플릭스 역사상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본 작품이 됐다”라고 언급했다.

2021년 넷플릭스에 공개된 <오징어 게임>은 4주 만에 전 세계 각국 순위 차트를 휩쓴 바 있다.

서랜도스는 이어 “영화나 TV 시리즈가 모국에서 통한다면 그 작품들은 그 나라 정통 작품일 것”이라며 “전 세계 관객들은 바로 그런 진정성을 고른다고 생각한다”라고 했다. 그는 미국 국내와 글로벌 관객의 입맛을 동시에 충족시키려는 시도가 할리우드 영화의 발목을 잡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미국 영화의 세계화가 관객들과 미국 영화를 단절시켰다고 생각한다”며 “영화에 대한 애정이 줄어든 것도 이 때문”이라고 말했다.

2000년 넷플릭스에 입사해 최고경영자 자리에 오른 서랜도스는 봉준호 감독의 영화 <옥자> 제작을 추진하는 등 한국 콘텐츠에 애정이 깊다.


Today`s HOT
미국의 폭설로 생겨난 이색 놀이 인도네시아의 뎅기 바이러스로 인한 소독 현장 인도네시아의 설날을 준비하는 이색적인 모습 휴전 이후의 가자지구 상황
가자-이스라엘 휴전 합의, 석방된 팔레스타인 사람들 다수의 사망자 발생, 터키의 한 호텔에서 일어난 화재..
중국의 춘절을 맞이하는 각 나라들의 모습 각 나라 겨울의 눈보라 치고 안개 덮인 거리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식 베를린 국제 영화제 위한 곰 트로피 제작 세계 지도자 평화와 화합 콘서트의 홍타오 박사 타이둥현 군 기지를 시찰하는 라이칭 테 대만 총통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