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비수도권 최대 규모 반도체 인재 확보…전문인력양성 체계 완성

백경열 기자
대구시청 산격청사 전경. 대구시 제공

대구시청 산격청사 전경. 대구시 제공

대구시는 반도체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추진하던 ‘교육 단계별 반도체 인력 양성체계’를 완성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날 대구시에 따르면 경북대학교는 지난 20일 산업통상자원부가 공모한 반도체·배터리·디스플레이 등 ‘첨단산업 특성화대학원 지원사업’ 대상에 선정됐다. 반도체분야에는 경북대와 함께 포항공대와 한양대가 뽑혔다.

이에 따라 경북대는 올해부터 2028년까지 국비 150억원, 대구시 예산 6억원을 지원받아 특화 분야별(소재·공정·장비) 교육과정을 운영한다. 이 대학은 산·학 협력 컨소시엄을 구축해 매년 30여명의 석·박사급 인재를 배출하게 될 전망이다.

대구시는 경북대가 이번 공모에 선정됨에 따라 고교-대학교-대학원으로 이어지는 반도체 전문인력 양성 체계를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대구에는 반도체 마이스터고인 대구전자공고를 비롯해 중소기업 기술사관 육성사업으로 영남이공대와 영진전문대가 관련 인력을 배출하고 있다.

여기에 반도체 특성화대학 지원사업(경북대), 삼성전자 반도체 계약학과(DGIST), 첨단산업 특성화대학원 지원사업(경북대) 등이 가세했다. 대구시는 전문인력 양성 체계로 비수도권에서 최대 규모인 연간 1750여명의 인재를 확보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대구시는 팹리스(설계 전문회사) 산업 생태계 조성을 추진하며 지난해부터 4곳의 관련 기업을 유치했다. 올해 하반기부터는 지능형반도체 개발지원센터를 가동할 계획이다. 대구시는 석·박사급 고급인력이 배출되면서 반도체 기업 유치에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한다.

시는 반도체 산업 생태계 구축의 하나로 기업 공유형 반도체 팹인 ‘D-FAB’(DGIST) 및 화합물반도체 특화 반도체 공동연구소(경북대) 건립도 추진하는 등 시스템반도체 인프라 구축에도 노력할 계획이다.

최운백 대구시 미래혁신성장실장은 “인재 양성은 대구시 미래 50년을 책임질 반도체의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이라면서 “이를 토대로 반도체 유망 기업을 유치하고, 기업과의 협력을 강화함으로써 지역 경제의 혁신성장을 이루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Today`s HOT
근처 주거 건물까지 번진 쇼핑 센터에서의 화재.. 오랜 시간 산사태가 발생하는 랜초 팔로스 베르데스 반도 계속되는 러시아 공습에 뉴욕에서 집회가 열리다. 올해 초 산불 여파 가시기 전, 또 다시 산불 발생
런던에서 열린 춘분식 연이은 가자지구 공습, 보이지 않는 전쟁의 끝
텍사스 주 산불, 진압 위해 작업하는 대원들 5주 만에 퇴원한 교황, 최소 2달은 안정 취해야..
평화를 위해 심어진 붉은 깃발 오슬로에서 이루어진 우크라이나-노르웨이 회담 더 나은 복지와 연금 인상을 원하는 프랑스 시민들 사이클론 알프레드로 인한 해안 침식 모습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