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사람 죽였다” 경찰에 100여 차례 ‘거짓신고’ 50대 송치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사람 죽였다” 경찰에 100여 차례 ‘거짓신고’ 50대 송치

경찰 마크. 경향신문 자료사진

경찰 마크. 경향신문 자료사진

경북 구미경찰서는 상습적으로 허위 신고를 한 혐의(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로 A씨(50)를 불구속 송치했다고 27일 밝혔다.

A씨는 지난달 25일 구미시 사곡동에서 “사람을 죽인 것 같다”며 112에 허위 신고한 혐의를 받고 있다. 당시 관할 지구대 순찰팀 등 경찰관 7명이 출동했다. 또 긴급 상황이라고 판단해 응급처치 등을 위한 소방 인력 등도 출동해 문을 강제 개방했다.

A씨는 지난해에도 “사람을 죽였다”, “지인이 칼을 들고 위협한다”는 등 100여차례에 걸쳐 112에 허위 신고를 한 것으로 파악됐다.

경찰청의 최근 3년간 ‘112 허위신고 및 처벌 현황’을 보면, 허위 신고 발생 건수는 2021년 4153건에서 2022년 4235건, 지난해 5038건으로 증가 추세다. 이 같은 허위 신고에 대해 처벌 비율도 높아지고 있다. 2021년 90.5%, 2022년 93.2%, 지난해 96.1%로 각각 증가했다.

112에 허위신고를 하면 ‘경범죄 처벌법’에 따라 60만원 이하의 벌금·구류 또는 과료에 처할 수 있다. 특히 구미 사례처럼 상습적으로 거짓 신고할 경우 형법상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죄가 적용될 수 있다.

경찰은 오는 7월3일부터 ‘112신고의 운영 및 처리에 관한 법률’(112신고처리법)이 시행되면 거짓으로 꾸며 112신고를 한 사람에게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물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구미경찰서 관계자는 “허위 및 거짓신고는 경찰의 공권력을 낭비시키고 현장 대응력을 약화시키는 행위로서 반드시 근절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