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한국서 가장 오래된 히말라야시다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한국서 가장 오래된 히말라야시다

영동 부용리 개잎갈나무

영동 부용리 개잎갈나무

충북 영동군 영동산업과학고등학교 교정에는 특별한 나무 한 그루가 학교의 상징목으로 서 있다. ‘영동농업전수학교’로 1936년 개교한 이 학교가 1944년 4년제 갑종으로 승격한 계기를 기념해 심은 ‘개잎갈나무’다.

‘히말라야시다’로 많이 불리는 개잎갈나무가 우리나라에 처음 들어온 것도 그즈음이다. 농업이 전공이던 학교였기에 그때로선 낯선 개잎갈나무를 학교 상징목으로 선택하고 널리 알리는 데 선구적으로 나선 것이다.

히말라야 지역에서 자라는 나무여서 히말라야시다라고 부르지만,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정한 우리말 이름은 ‘개잎갈나무’다. 잎갈나무와 생김새는 닮았어도 분류학적으로 다른 나무여서 그런 이름이 붙었다.

개잎갈나무는 생김새가 아름다운 데다 빠르게 큰 나무로 자라 풍치를 좋게 하는 나무여서 세계 3대 조경수로 꼽힌다. 우리나라 전국의 기후에서 잘 자랄 뿐 아니라, 공해에 견디는 힘이 강해 도시 가로수나 아파트 조경수로 많이 심어 키우는 나무다.

‘영동 부용리 개잎갈나무’는 나무나이 80년, 나무높이 15m의 큰 나무로, 한국전쟁 때 이 학교 본관이 폭격으로 전소하는 참화 중에도 살아남은 역사적인 나무다. 1930년대에 우리나라에 들어오기 시작한 개잎갈나무 가운데 지금까지 살아남은 나무로는 가장 크고 오래된 나무다.

거개의 개잎갈나무는 줄기가 일정한 높이까지 곧게 솟아오른 뒤 가지를 펼치면서 고깔 모양의 생김새를 이루는데, ‘영동 부용리 개잎갈나무’는 줄기 아래쪽에서부터 나뭇가지를 부채꼴 모양으로 넓게 펼친 독특하고도 아름다운 생김새로 자랐다.

나무가 서 있는 자리가 사람과 자동차의 통행이 잦은 곳이어서 나뭇가지를 펼친 공간은 화단을 쌓고 울타리를 설치했다. 100년이 안 된 젊은 나무이기도 하지만, 학교의 상징목으로 정성 들여 관리한 덕에 생육 상태가 무척 건강하다. 먼 곳에서 왔지만 이제 우리의 대표적 풍치수가 된 개잎갈나무의 역사를 간직한 아름다운 자연유산이다.

  • AD
  • AD
  • AD

연재 레터를 구독하시려면 뉴스레터 수신 동의가 필요합니다. 동의하시겠어요?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콘텐츠 서비스(연재, 이슈, 기자 신규 기사 알림 등)를 메일로 추천 및 안내 받을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아니오

레터 구독을 취소하시겠어요?

구독 취소하기
뉴스레터 수신 동의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안녕하세요.

연재 레터 등록을 위해 회원님의 이메일 주소 인증이 필요합니다.

회원가입시 등록한 이메일 주소입니다. 이메일 주소 변경은 마이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
보기
이메일 주소는 회원님 본인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합니다. 이메일 주소를 잘못 입력하신 경우, 인증번호가 포함된 메일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뉴스레터 수신 동의
닫기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로 인증메일을 발송했습니다. 아래 확인 버튼을 누르면 연재 레터 구독이 완료됩니다.

연재 레터 구독은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