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노·정 갈등으로 연기된 경사노위 특위, 두 달 만에 열린다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노·정 갈등으로 연기된 경사노위 특위, 두 달 만에 열린다

노사정 대표자들이 지난 2월6일 13차 경제사회노동위원회 본위원회에서 노사정 선언문 서명식을 마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이 회의는 서울 종로구 경제사회노동위원회 대회의실에서 열렸다. 권도현 기자

노사정 대표자들이 지난 2월6일 13차 경제사회노동위원회 본위원회에서 노사정 선언문 서명식을 마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이 회의는 서울 종로구 경제사회노동위원회 대회의실에서 열렸다. 권도현 기자

지난달 초 열릴 예정이던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지속가능한 일자리와 미래세대를 위한 특별위원회’ 첫 회의가 두 달가량 만에 열린다. 경사노위 공무원·교원 근무시간면제심의위원회 공익위원 선정을 둘러싼 노·정 간 이견이 정리된 데 따른 것이다.

29일 노사정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하면 경사노위는 30일 오후 6시 서울 종로구 경사노위 대회의실에서 특위 첫 회의를 연다.

경사노위는 지난 2월6일 본위원회를 열고 산업전환, 불공정 격차 해소, 유연안정성 및 노동시장 활력 제고, 대화와 타협의 노사관계 등의 의제를 다룰 특위를 출범시키기로 했다. 당시 특위 위원 구성이 마무리되면서 노사정은 지난달 4일 특위 첫 회의를 열 예정이었다. 하지만 공무원·교원 근무시간면제심의위 공익위원 구성을 둘러싼 노·정 갈등이 특위 첫 회의에 영향을 미쳤다.

공무원·교원노조법 개정에 따라 경사노위엔 공무원·교원 근로시간면제(타임오프) 한도를 논의하는 근무시간면제심의위가 설치된다. 근무시간면제심의위는 노동자위원 5명, 정부위원 5명, 공익위원 5명 등 총 15명으로 구성된다. 한국노총은 정부가 제시한 공익위원 후보 15명 명단이 “사용자 편향적”이라며 반발해왔다. 공익위원 선정을 둘러싼 갈등이 해소되지 않자 한국노총은 특위 첫 회의 불참을 통보했다. 하지만 최근 한국노총 공무원연맹이 당초 정부가 제시한 공익위원 명단 내에서 노사가 순차 배제를 하고 남은 인사를 공익위원으로 정하는 데 동의하면서 노·정 간 샅바싸움이 마무리됐다.

경사노위는 “오늘 김문수 경사노위 위원장과 한국노총 공무원연명 간 간담회에서 노·정은 근무시간면제심의위 공익위원 선정과 관련한 이견을 해소하고 근무시간면제심의위를 발족키로 했다”고 밝혔다.

한국노총은 근무시간면제심의위 공익위원을 둘러싼 갈등이 일단락되자 연기된 특위 첫 회의에 참여하기로 했다. 특위 위원장은 이원덕 전 한국노동연구원 원장이 맡는다. 특위는 발족일로부터 6개월간 운영된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