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일제강점기 옛 대전부청사 시민 품으로…대전시 매입 완료 옛 모습 복원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일제강점기 옛 대전부청사 시민 품으로…대전시 매입 완료 옛 모습 복원

상징성·역사성 반영, 복합문화공간 활용 계획

옛 대전부청사 복원도. 대전시 제공

옛 대전부청사 복원도. 대전시 제공

일제강점기에 지어진 옛 대전부청사가 대전 시민 품으로 돌아왔다. 해방 이후 대전시 최초 시청사로 활용됐던 대전부청사는 민간에 소유권이 넘어가 장기간 활용되지 못하고 방치되다 철거 위기까지 겪었었다.

대전시는 최근 옛 대전부청사 매입 대금 지급을 마치고 소유권 이전 등기를 완료했다고 30일 밝혔다. 민간 소유였던 건물에 대한 매입 절차가 모두 마무리된 것이다.

대전 중구 은행동 옛 대전부청사는 일제강점기인 1937년에 지어진 근대건축물이다. 1935년 대전이 읍에서 부로 승격되면서 지어져 해방 이후에는 대전시청사로 활용됐다. 1959년 대전시청이 중구 대흥동 신청사로 이전한 후에는 대전상공회의소 건물로 사용되다 1996년 민간에 매각됐다. 하지만 두 차례 소유권 변경을 거치며 장기간 흉물처럼 방치됐고, 2016년에는 건물을 허물고 오피스텔을 신축하겠다는 건축계획이 접수돼 철거 위기에 놓이기도 했다.

이에 대전시는 2022년 연구용역을 통해 이 건물의 가치를 평가하고 매입·활용 방안을 마련해 왔다. 용역에서는 옛 대전부청사가 최초 대전시청사로서 가지는 상징성과 역사적 가치. 근대건축물로서의 문화재적 가치가 높고 향후 활용 가치도 높다는 평가가 나왔다. 당시 용역을 수행한 목원대 산학협력단은 “옛 대전부청사는 일제강점기부터 한국전쟁 직후 재건기를 거쳐 산업화 시기에 이르는 대전의 변화상을 잘 보여주며, 건축 자산 관점에서도 경관·예술·사회적 가치가 높다”고 평가했다.

대전시는 매입 절자가 끝남에 따라 옛 대전부청사를 시민들을 위한 복합문화공간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계획하고 있다. 우선 오는 8월 열리는 ‘대전 0시축제’ 종합상황실로 사용한 뒤 2026년까지 복원·보수 작업을 거쳐 대전부청사의 옛 모습을 되살릴 계획이다. 복원이 완료되면 원도심의 다른 근대문화유산과 연계한 관광자원화 사업도 추진한다. 대전 원도심에는 대전부청사 외에도 옛 충남도청사와 도관사촌, 소제동 철도관사촌, 옛 동양척식 주식회사 등 여러 근대건축물이 원형을 보존한 채 남아있다.

노기수 대전시 문화관광국장은 “대전부청사는 시민과 예술인이 공유하는 다중복합문화공간으로 탈바꿈해 명품 공간으로 활용될 예정”이라며 “향후 원도심 근대유산과 연계해 스토리텔링화하고, 이를 활용한 새로운 역사관광자원화 사업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