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속보] 합참 “9일 오물 풍선 80여개 낙하”···북한 세 번째 오물풍선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속보] 합참 “9일 오물 풍선 80여개 낙하”···북한 세 번째 오물풍선

9일 서울 잠실대교 인근에 북한이 보낸 오물풍선이 식별됐다. 합동참모본부 제공

9일 서울 잠실대교 인근에 북한이 보낸 오물풍선이 식별됐다. 합동참모본부 제공

북한이 세 번째로 대남 오물 풍선을 살포했다. 9일 전국에서는 80여개의 오물 풍선이 식별됐다. 대통령실은 이에 대응하기 위해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연다.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의 대남 오물 풍선이 8~9일 식별됐다”며 “9일 오전 10시까지 북한측은 330여개의 오물 풍선을 띄운 것으로 식별됐고, 우리 지역에 낙하된 것은 80여개”라고 9일 밝혔다.

합참은 이어 “풍선의 내용물은 폐지·비닐 등의 쓰레기이며, 분석결과 안전에 위해되는 물질은 없었다”고 밝혔다. 앞선 1·2차 풍선 살포 때와 달리, 거름 종류의 오물은 발견되지 않았다.

오물 풍선은 주로 경기 북부와 서울, 강원 북부 지역에서 관측됐다. 충청도와 경상도, 전라도에서 발견된 것은 없었다. 상당수는 북한 지역이나 동해에 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합참은 “오물 풍선이 80여개가 낙하한 것으로 봐서 (풍선 살포의)효율은 좋지 못한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합참은 바람의 방향이 바뀌는 이날 오후 북한이 추가 살포를 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이에 대비하고 있다. 합참은 “국민들께서는 적재물 낙하에 주의하기 바란다. 떨어진 풍선을 발견하시면 접촉하지 말고 가까운 군부대나 경찰에 신고해달라”고 당부했다.

북한은 지난달 28~29일과 지난 1~2일 오물 풍선을 살포했다. 당시 각각 260여개와 720여개의 오물 풍선이 전국에서 발견됐다.

북한은 지난 2일 대북전단 살포가 재개될 경우 “백배의 휴지와 오물량을 다시 집중 살포하는 것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오물 풍선 살포가 우리 민간단체의 대북전단 살포에 대한 대응이라고 재차 주장했다. 우리측 민간단체는 지난 6일과 7일 등 대북전단을 대형 풍선에 실어 북한에 보냈다.

9일 서울 중랑구에서 북한이 보낸 오물풍선이 식별됐다. 합동참모본부 제공

9일 서울 중랑구에서 북한이 보낸 오물풍선이 식별됐다. 합동참모본부 제공

대통령실은 이날 오전 장호진 안보실장 주재로 NSC 상임위원회 확대회의를 열어 이에 대한 대책을 논의한다. 대통령실이 대남 오물 풍선 살포에 대응하기 위해 NSC를 가동한 것은 지난 2일 이후 7일 만이다. 지난 2일 대통령실은 “북한이 감내하기 어려운 조치에 착수할 것”이라며, 그 방법 중 하나로 “대북 확성기 방송 재개도 배제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