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중구 남산서울타워에서 바라본 서울 도심의 아파트 단지 모습. 문재원 기자
서울 아파트 거래에서 증여가 차지하는 비중이 6년 9개월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아파트값이 상승세를 보이면서 증여로 인한 취득세 부담이 더 커졌기 떄문으로 분석된다.
9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 4월 서울 아파트 증여 거래 건수는 326건이었다. 이는 전체 거래(6275건)의 4.8%로, 지난 3월 11.0%에서 급감했다. 월 기준으로 2017년 9월(2.9%) 이후 6년 9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전국 기준으로도 4월 증여 비중은 전월(6.0%)보다 감소한 3.88%로 집계됐다. 2020년 6월(3.87%) 이후 3년 10개월 만에 가장 낮았다. 올해 1~3월까지만 해도 10%를 넘어서던 증여 비중이 4월 들어 반토막이 난 것은 4월부터 아파트값 상승세가 본격화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매매가격이 오르면 증여가액도 높아져 세금 부담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한국부동산원 자료를 보면, 서울 아파트값은 3월 말부터 상승 전환해 11주 연속 올랐다. 지난주는 전주 대비 0.09% 올라 지난해 10월 3주(0.09%) 이후 약 8개월 만에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인기 아파트를 중심으로 실거래가가 전고점에 육박하거나 근접하는 사례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 경제 많이 본 기사
매매 거래량은 증가 추세다. 국토부 실거래가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2월 2570건에 그쳤던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3월 들어 4217건으로 증가한 뒤 4월 들어 4360건으로 늘었다. 2021년 7월(4796건) 이후 2년9개월 만에 최다 거래량이다.
5월 매매도 6월 현재까지 신고건수가 3437건에 달해 이달 말까지인 신고기한을 고려하면 4월 거래량을 넘어설 가능성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