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공수처 검사들의 인사 전반을 논의하기 위한 2기 인사위원회를 출범시킨다. 오동운 공수처장 임명 이후로도 차장 공백이 3주가량 미뤄지는 등 내부 조직 재편이 지연되고 있다. 공수처는 2기 인사위 출범을 계기로 결원 충원에 대한 논의부터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10일 경향신문 취재 종합하면 공수처는 최근 2기 인사위 구성을 마치고 오는 13일 첫 회의를 개최한다. 인사위는 공수처 처장과 차장을 제외한 공수처 부장·평검사 인사 전반을 심의·의결하는 기구다. 공수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9조에 따르면 인사위 구성은 총 7명으로 처·차장과 여당 교섭단체 추천인사 2명, 야당 교섭단체 추천인사 2명, 공수처장이 위촉한 사람 1명으로 이뤄진다.
첫 회의는 차장을 제외한 총 6인 체제로 진행된다. 오 공수처장이 지난달 21일 취임하고 약 3주가 지났음에도 여전히 차장을 지명하지 않은 탓이다. 현재 송창진 공수처 수사2부장이 차장 대행을 겸한다. 공수처는 차장 대행이 인사위에 참가하는 방안은 배제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인사위에서는 공수처 부장검사의 인선 계획을 포함한 조직 재편에 대한 개괄적인 논의가 이뤄질 전망이다. 공수처는 검사 정원이 총 25명이지만 최근 김선규 전 수사1부장의 사표가 수리되면서 재직 검사가 총 19명에 그친다. 최근 사의를 표명한 김명석 부장검사(인권수사정책관)의 사표가 수리되면 검사 인원은 18명으로 줄게 된다.
공수처 검사 인력 충원이 장기간 이뤄지지 않았던 만큼 조직 재편 작업이 더욱 속도를 내야 한다는 지적이 공수처 안팎에서 나온다. 공수처 내부 사정에 밝은 한 법조계 관계자는 “검사 결원 문제뿐 아니라 차장 임명도 너무 더딘 감이 있다”며 “여운국 전 공수처 차장이 (지난 1월 말) 퇴임한 이후 현재까지 대행 체재를 유지해오고 있는 셈인데, 공수처에서 진행하는 사건을 안정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라도 전반적인 충원 작업에 속도를 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