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초등학교 인근 공공 텃밭에 ‘마약류 양귀비’ 깜짝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초등학교 인근 공공 텃밭에 ‘마약류 양귀비’ 깜짝

서울 노원구 경춘숲공원…구, 내주 한 번 더 텃밭 전수조사

서울 노원구 경춘숲공원에 딸과 함께 산책하러 나온 박모씨(57)는 일부러 공공 텃밭이 있는 길로 걷는다고 했다. 박씨는 “밭에서 채소가 자라는 건 시골에나 가야 볼 수 있는데, 엄마 생각도 나고 좋다”고 말했다. 그런 텃밭에서 지난 8일 마약류 양귀비가 발견됐다. 박씨는 “누가 심었는지는 몰라도 상식 이하”라며 “양귀비꽃이 예쁘다 보니 아이들이 와서 만질 수도 있어 걱정된다”고 했다.

노원구가 구청이 공공 분양한 경춘숲공원 내 텃밭 168구획을 포함한 총 502개 구획을 지난 10일 전수조사한 결과, 마약류 양귀비가 추가로 발견된 곳은 없었다. 구청 관계자들은 단속용 양귀비와 관상용 개양귀비를 구분할 수 있는 비교표를 뽑아 들고 현장을 점검했다. 대부분 텃밭에는 상추·감자·당근·케일·가지 등이 자라고 있었다.

지난 8일 경찰은 텃밭 한 곳에서 200주, 다른 곳에서 30여주의 마약류 양귀비를 압수했다. 노원구는 공공 텃밭을 분양할 때 개인·단체를 나누는데, 양귀비가 발견된 곳은 모두 단체가 분양받은 곳이었다. 양귀비 200주가 심어져 있던 영역은 전체 5.76㎡ 중 폭 약 1m, 너비 약 50㎝의 좁은 구역으로 보행로에 가까운 쪽이었다.

양귀비가 발견된 텃밭 지척에는 초등학교와 파출소가 있었다. 인근 텃밭에는 작은 인형으로 만든 허수아비가 놓여 있기도 했다. 아이와 함께 텃밭을 꾸려가는 이들도 많다고 한다. 학교를 마치고 학원에 가던 유모양(14)은 “초등학교가 바로 앞인데 마약을 왜 심었는지 모르겠다”며 “아이들이 보고 배우면 안 될 것 같다”고 했다. 나무 그늘에서 18개월 아이가 탄 유아차를 끌고 산책하던 김형근씨(71)는 “수많은 사람이 다니는 곳이라 (양귀비임을) 알고도 심지는 않았을 것 같다”면서도 “재배한 사람을 찾아서 벌을 줘야 한다”고 말했다.

현장은 기간제 노동자들이 ‘채소 서리’를 막기 위해 순찰을 다닌다. 종종 인근 주민들이 상추를 줄기째 꺾어가는 등 도난 사건이 많아서다. 노원구는 이들에게 마약류 식물들에 대한 교육을 진행하기로 했다. 다음주 초쯤에는 경찰 마약반과 다시 텃밭 전수점검을 할 예정이다.

경찰 관계자는 ‘양귀비를 재배한 인물이 특정되는가’라는 질문에 “수사 중인 사안이라 말할 수 없다”고 밝혔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