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세계은행, 올해 세계성장률 2.6%로 상향···미국 성장률 0.9%포인트↑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세계은행, 올해 세계성장률 2.6%로 상향···미국 성장률 0.9%포인트↑

세계은행

세계은행

세계은행(WB)이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6%로 소폭 상향 조정했다. 세계은행은 단기 전망이 개선됐지만 세계 경제성장률은 여전히 낮은 수준이라고 짚었다. 특히 세계 경제가 코로나19 대유행 이전보다 낮은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세계은행은 11일(현지시간) 발표한 세계경제전망에서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을 2.6%로 전망했다. 지난 1월 발표한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 추정치인 2.4%보다는 0.2%포인트 상향 조정했지만, 지난해 세계 경제성장률 추정치인 2.6%와 같은 수준이다. 세계은행이 추정한 세계 경제성장률은 2022년 3%, 2023년 2.6%, 2024년 2.6%로 3년 연속 둔화세다.

세계은행은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에 대해 1월 보고서 때보다 상·하방 요인이 균형을 이루고 있지만, 하방 요인이 더 우세하다고 평가했다. 하방 요인으로는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침공 등이 촉발한 지정학적 리스크 확산, (미·중 무역 갈등에서 촉발한) 무역 분절화 및 무역 정책의 불확실성, 고금리 지속, 중국 경기 둔화, 기후 관련 재난 등을 꼽았다.

미국과 유럽연합(EU), 일본 등 선진국 경제는 올해 1.5%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 1월 전망치인 1.2%보다 0.3%포인트 올라갔다. 주요국 중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가장 많이 상향 조정했다. 1월 전망보다 0.9%포인트 오른 2.5%로 조정했다. 유로존은 1월 전망 때와 같은 0.7%를 유지했다. 일본은 0.2%포인트 높은 0.7%로 상향 조정했다.

신흥국과 개발도상국은 1월 추정치보다 0.1%포인트 올린 4.0%로 전망했다. 중국 경제성장률은 1월 전망치보다 0.3%포인트 오른 4.8%로 조정했다. 부진한 건설·설비 투자에도 불구하고 연초 수출 호조가 전망치를 끌어올렸다. 다만 이는 지난해 중국 경제성장률 추정치(5.2%)보다는 낮다.

세계은행은 2026년도까지 세계 경제가 연평균 2.7%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코로나19 대유행 이전기(2010~2019년) 평균 추정치 3.1%보다 0.4%포인트 낮다.

세계은행은 “단기적인 전망이 개선됐음에도 글로벌 전망은 역사적 기준보다 여전히 낮은 수준”이라며 “2024~2025년 전 세계 인구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60% 국가의 경제에서 성장률이 2010년대 평균을 밑돌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세계 물가상승률은 올해 3.5%에서 내년에는 2.9%로 떨어지겠지만, 하락속도는 1월 전망치보다 둔화하고 있다고 봤다. 이 때문에 세계 각국의 중앙은행들이 정책금리 인하에 신중을 기할 것으로 세계은행은 예상했다.

아이한 코세 세계은행 부총재는 “전 세계적으로 식량과 에너지 가격이 완화됐음에도 불구하고 근원 물가상승률은 여전히 ​​상대적으로 높은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며 “이로 인해 주요 선진국 중앙은행들이 금리 인하를 연기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보고서에 한국에 대한 전망은 포함되지 않았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