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4월 은행 대출 연체율 0.48%…가계도 기업도 연체 상승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4월 은행 대출 연체율 0.48%…가계도 기업도 연체 상승

2월 정점 찍은 뒤 소폭 하락했다가 재상승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4월 말 기준 국내 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0.48%로 3월 말(0.43%) 대비 0.05%포인트(p) 올랐다.|경향신문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4월 말 기준 국내 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0.48%로 3월 말(0.43%) 대비 0.05%포인트(p) 올랐다.|경향신문

4월 말 기준 국내 은행의 대출 연체율이 전월 대비 다시 상승해 0.48%를 기록했다. 가계대출과 기업대출 모두 올랐다. 금융당국은 은행들이 연체채권을 집중적으로 정리하는 분기말(3월) 다음달은 통상적으로 연체율이 오를 수 있다고 본다. 다만, 개인사업자 등 금리 변동에 민감한 취약차주들 중심으로 부실이 심화할 우려는 여전히 존재한다.

14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지난 4월 말 기준 국내 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0.48%로 전달말(0.43%) 대비 0.05%포인트 올랐다. 은행 연체율은 지난 2월 0.51%로 4년 9개월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한 뒤 3월 0.43%로 하락했다. 금감원은 “4월 상승 폭은 1월(0.07%p), 2월(0.06%p)에 비해 소폭 둔화했다”며 “통상 분기 말에는 은행의 연체채권 정리 확대로 연체율이 큰 폭 하락하고 다음 달 다시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4월 중 신규로 발생된 연체액은 2조6000억원이었다. 이는 전월(2조4000억원) 보다 2000억원 증가한 것이다. 반면 연체채권 정리 규모는 전월(4조2000억원)보다 2조7000억원 줄어든 1조5000억원에 그쳤다.

4월 중 신규연체율(신규연체 발생액/전월 말 대출잔액)은 0.12%로 전월(0.11%) 대비 0.01% 포인트 상승했다. 부문별로 보면 가계대출과 기업대출 모두 올랐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0.40%로 전월 말(0.37%) 대비 0.03%포인트 상승했는데 이중 주택담보대출이 연체율 0.26%로 전월 말(0.25%) 대비 0.01%포인트 올랐다. 주택담보대출을 제외한 신용대출 등 가계대출 연체율도 전월 말(0.73%) 대비 0.06%포인트 상승한 0.79%를 기록했다.

기업대출 연체율 역시 0.54%로 전월 말(0.48%) 대비 0.06%포인트 올랐다. 중소기업과 중소법인, 개인사업자대출이 일제히 오르면서다. 대기업대출 연체율은 0.11%로 전월 말과 유사한 수준을 기록했으나,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은 0.66%로 전월 말(0.58%) 대비 0.08%포인트, 중소법인 연체율은 0.70%로 전월 말(0.61%) 대비 0.09%포인트, 개인사업자 대출 연체율은 0.61%로 전월 말(0.54%) 대비 0.07%포인트 상승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