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2040 직장인 70% “이직 고려”···사유 1위는 ‘연봉 불만족’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2040 직장인 70% “이직 고려”···사유 1위는 ‘연봉 불만족’

점심을 먹기 위해 이동하는 직장인들. 경향신문 자료사진

점심을 먹기 위해 이동하는 직장인들. 경향신문 자료사진

20∼40대 직장인 10명 중 7명은 이직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직을 계획하는 사유 1순위는 ‘금전 보상 불만족’이었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는 전국 20∼40대 정규직 1500명을 대상으로 ‘근로자 이직 트렌드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69.5%가 이직을 고려 중이라고 답변했다고 19일 밝혔다.

조사 결과 연령대가 낮을수록 이직을 고려하고 있는 이들의 비중이 높았다. 20대 응답자의 83.2%, 30대 응답자의 72.6%, 40대 응답자의 58.2%가 이직을 고려하고 있었다.

이직을 고려하는 사유(복수 응답)로는 ‘금전 보상에 대한 불만족’(61.5%)이 가장 컸다. 그 외 ‘과도한 업무량’(32.7%), ‘기대보다 낮은 평가’(27.4%), ‘회사실적 부진 등 미래에 대한 불안’(26.6%), ‘개인적 성장을 위해’(25.7%) 등 응답이 있었다.

응답자 3명 중 2명은 이직 유경험자였다. 전체의 67.8%가 ‘이직 경험이 있다’고 답했고, 현 직장이 첫 번째 직장이라는 응답은 32.2%에 불과했다.

연령별로 보면 ‘이직 경험이 있다’는 응답은 40대 79.8%, 30대 67%, 20대 49.6%로 연령이 높을수록 이직 유경험자의 비율도 높게 나타났다.

이직 유경험자의 이직 횟수는 평균 2.8회였다. 이직을 해본 이들 중 절반에 가까운 47.1%는 3회 이상 이직을 했다고 답했다.

이직 성공 요인으로는 ‘직무 관련 경력’이 56.3%로 가장 높았고, 이어 ‘차별화된 직무 역량’(27.9%), ‘직무 관련 자격증’(7.3%), ‘인맥 관리’(5.8%) 등의 순이었다.

응답자 절반은 이직을 ‘연봉 인상의 수단’으로 여기고 있었다. 이직의 의미를 묻자 ‘연봉 인상 수단’이라는 응답이 49.5%로 가장 많았고, ‘개인적 성장 기회’(31.8%), ‘역량 검증 수단’(12.3%) 등이 뒤를 이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