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열차 내부 중 어디가 제일 시원할까?

김보미 기자 bomi83@kyunghyang.com
30도가 넘는 폭염으로 온열질환자가 속출한 지난해 7월 서울 지하철 1호선 전동차 안의 승객들 모습. 한수빈 기자

30도가 넘는 폭염으로 온열질환자가 속출한 지난해 7월 서울 지하철 1호선 전동차 안의 승객들 모습. 한수빈 기자

서울지역에 첫 폭염주의보가 발령되는 등 본격적인 무더위로 지하철 내 온도 관련 민원이 급증하고 있다. 서울교통공사가 여름철 지하철을 시원하고 쾌적하게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공개했다.

20일 서울교통공사에 따르면 올해 들어 ‘전동차 안이 덥거나 춥다’는 불편 민원 접수는 이미 4월부터 급증했다. 1~3월 매달 3만건 안팎에서 4월 9만건, 5월 10만건을 넘어 3배 이상 늘었다. 특히 지난 1~14일 접수된 불편사항(5만9386건) 가운데 냉난방 온도 관련 내용(5만1145건)이 86.1%에 달한다.

여름철인 6~9월 출퇴근 시간대에는 모든 냉방 장치·송풍기를 가동하고 승무원이 시간대별 승객 혼잡도 변화에 맞춰 적정 온도를 조절하고 있다.

여름철 지하철 전동차 일반 칸은 24도 정도로 설정돼 있다. 하지만 냉방을 가동할 때 전동차 내부 온도는 좌석 위치마다 2~4도의 기온 차이가 있다. 승객이 많을 때는 최대 6도까지 벌어진다. 같은 열차에 타고 있어도 덥고 추운 승객이 공존하는 셈이다.

지하철 전동차 내 공기 흐름도. 서울교통공사 제공

지하철 전동차 내 공기 흐름도. 서울교통공사 제공

보통 열차 내 냉기 순환 흐름에 따라 객실 양쪽 끝과 교통약자 배려석 주변의 온도가 가장 낮다고 한다. 온도가 가장 높은 곳은 객실 중앙부다.

공사 관계자는 “승객들은 체감 온도에 맞춰 열차 내 자리를 이동하는 것을 추천한다”며 “여름철 에어컨 바람 탓에 추위를 느끼면 약냉방칸을 이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약냉방칸은 일반 칸보다 1~2도 높게 운영된다. 1·3·4호선은 4·7번째, 5·6·7호선은 4·5번째, 8호선은 3·4번째 칸이다. 2호선은 모든 열차가 혼잡도가 높아 약냉방칸을 따로 운영하지 않는다.

또 혼잡도가 심해질 때 객실 온도가 올라가기 때문에 탑승 전 덜 붐비는 칸을 확인해 이용하는 것도 팁이다. 2호선 본선과 3호선은 실시간 혼잡도를 볼 수 있고, 1호선과 4~8호선은 직전 3개월과 요일별, 10분 평균 혼잡도를 분석한 통계성 혼잡도 정보가 제공된다.

냉난방 관련 민원은 고객센터(1577-1234)나 ‘또타 지하철’ 애플리케이션·챗봇(chat.seoulmetro.co.kr)을 통해 접수할 수 있다.

백호 서울교통공사 사장은 “정기적으로 냉방기 가동상태 점검과 청소를 하고, 냉방 성능이 개선된 새 전동차를 도입하고 있다”며 “쾌적한 지하철 이용 환경 조성을 위해 힘쓰겠다”라고 말했다.


Today`s HOT
달러와 연료 부족난을 겪는 볼리비아 사람들 175명씩 전쟁 포로 교환, 돌아온 우크라이나 군인들 라마단을 위한 무료 문신 제거 서비스 예루살렘에서 일어난 전쟁 종식 시위
동물원에서 엄마 곰의 사랑을 받는 아기 곰 '미카' 대피 명령 경보 떨어진 베이트 하눈을 떠나는 사람들
밤새 내린 폭우, 말라가주에 목격되는 피해 현장 런던의 어느 화창한 날, 공원에서의 시민들
베르크하임 농장에서의 어느 한가로운 날 페르시아 새해를 앞두고 이란에서 즐기는 불꽃 축제 아름다운 선행, 구조 대원들에 의해 살아난 동물들 시드니 풋볼 월드컵 예선을 준비하는 호주 선수들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