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미국, 북-러 협정에 “양국 협력 강화는 크게 우려할 일”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미국, 북-러 협정에 “양국 협력 강화는 크게 우려할 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왼쪽)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19일(현지시간) 북한 평양에서 열린 국빈 만찬에 참석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왼쪽)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19일(현지시간) 북한 평양에서 열린 국빈 만찬에 참석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미국 정부가 북한과 러시아가 체결한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 조약’에 우려를 표하며 동맹국과 협력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미 국무부 대변인은 19일(현지시간) 북·러 정상회담 결과에 대해 “러시아와 북한의 협력 심화는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유지하고, 국제사회의 비확산 체제를 수호하고, 러시아의 잔혹한 침략 전쟁에 맞서 우크라이나 국민의 자유와 독립을 수호하려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크게 우려할 추세”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어떤 나라도 푸틴 대통령에게 우크라이나 침략 전쟁을 촉진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며 “러시아는 노골적으로 유엔 헌장을 위반하고 있으며, 국제 시스템을 훼손하려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는 탄도미사일 등 북한의 대러 지원을 겨냥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이어 북한에 대해서도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여러 차례 타격하는 데 사용한 탄도미사일 등 무기 및 관련 물자를 (러시아에) 이전한 것은 구속력 있는 안보리 결의에 대한 명백한 위반”이라고 지적했다.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대변인은 “우리는 러시아와 북한 사이의 협력 심화에 대해 경고해왔다”면서 “미국은 앞으로도 우크라이나와 인도·태평양의 동맹국들을 계속 지원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국 국방부는 북한과 러시아의 조약 관련 소식을 인지하고 있으며 상황을 계속 주시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19일 북한 평양에서 정상회담을 한 뒤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 조약’에 서명했으며 20일 조약 전문을 공개했다.

일본 정부는 북·러 간 조약과 관련해 “일본을 둘러싼 지역의 안전보장 환경에 미치는 영향 등의 관점에서 심각하게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하야시 요시마사(林芳正) 관방장관은 이날 오전 기자회견에서 관련 질문에 “조약에 관해서 내용을 설명할 입장은 아니지만, 푸틴 대통령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결의에 위배될 수 있는 북한과 군사 기술 협력을 배제하지 않았다”고 지적하면서 이같이 말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