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외환당국-국민연금, 외환스와프 한도 500억달러로 증액···환율 리스크 억제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외환당국-국민연금, 외환스와프 한도 500억달러로 증액···환율 리스크 억제

입력 2024.06.21 10:30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 12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한국은행 창립 제74주년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낭독하고 있다. 한국은행 제공.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 12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한국은행 창립 제74주년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낭독하고 있다. 한국은행 제공.

외환당국과 국민연금공단과 외환스와프 거래 한도가 기존 350억달러에서 500억달러로 150억달러 늘어난다. 국민연금의 해외 투자용 달러 매입 수요를 한국은행의 외환보유액으로 대체함으로써 환율 변동 리스크를 줄이겠다는 취지다.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은 21일 국민연금공단과 올해 말까지 이같은 외환스와프를 확대 방안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국민연금은 해외투자를 위해 현물환 시장에서 달러를 매입하는 대신, 500억달러 한도에서 외환당국의 보유외환을 빌린다.

기획재정부는“외환 스와프 거래를 통해 외환시장의 변동성 확대에 효과적으로 대응한 경험과 국민연금의 해외투자가 지속되는 점 등을 고려하여 두 기관의 대응 여력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외환당국은 외환시장이 불안정해지면 국민연금의 현물환 매입 수요를 외환스와프로 흡수해 외환시장수급 불균형을 완화하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국민연금도 해외투자에 수반되는 환율 변동 리스크를 완화하고 외화자금 관리를 효율화할 수 있다.

외환당국은 “스와프 거래 기간 중 외환보유액은 거래금액만큼 줄어들지만, 만기 때 자금이 전액 환원되기 때문에 외환보유액 감소는 일시적”이라고 설명했다. 두 기관 간 외환스와프의 건별 만기는 6개월 또는 12개월이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