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거리 물가 내렸는데 공공요금 고공행진…생산자물가 6개월째 상승

김경민 기자
서울시내 한 대형마트를 찾은 시민이 장을 보고 있다. 한수빈 기자

서울시내 한 대형마트를 찾은 시민이 장을 보고 있다. 한수빈 기자

생산자물가가 6개월 연속으로 상승했다. 농축산물을 비롯한 ‘먹거리 물가’가 두달 연속 큰 폭으로 하락했지만, 도시가스 요금이 급등하고 서비스물가도 오른 것이 물가의 발목을 잡았다.

먹거리 물가는 내렸는데…가스요금은 고공행진

한국은행은 5월 생산자물가지수(잠정)가 전월(119.16)보다 0.1% 높은 119.25(2020년=100)로 집계됐다고 21일 발표했다. 생산자물가는 지난해 12월 이후 줄곧 오름세를 보였는데, 농림수산품과 공산품 가격 상승세가 둔화되며 상승 폭은 전월보다 축소됐다. 생산자 물가는 생산자 간 거래되는 ‘도매 물가’로, 소비자 물가의 선행지표로 여겨진다.

농림수산품은 전월 3% 하락한데 이어 5월에도 4% 하락하며 두 달 연속 크게 물가가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수산물은 전월대비 0.6% 올랐지만 농산물은 7.5%, 축산물은 1.3% 내렸다. 이 덕에 신선식품의 생산자물가는 전월 대비 8% 떨어졌다. 연초 크게 올랐던 먹거리 물가가 안정세를 보인 것이다.

참외가 전월보다 52.4%, 오이가 34.6% 싸졌고 닭고기는 5.4%, 쇠고기는 3% 가격이 하락했다. 다만 사과와 배는 여전히 1년 전과 비교하면 111.7%, 221.4% 높았고 냉동오징어도 34.6% 비싸졌다.

공산품은 보합 수준을 유지했다. 동, 아연 등 국제 금속가격이 오르며 1차 금속제품이 전월보다 1.3% 올랐으나, 석탄 및 석유제품이 유가 하락으로 3.5% 내렸다. 음식료품도 보합세를 보여 전달(0.3%)보다 가격 상승폭이 둔화됐다. 최근 수출이 늘고 있는 맛김은 3.5% 비싸졌지만 경유와 나프타 가격이 각각 5.7%, 4.4% 싸졌다.

서울 도심의 주택가에서 한 주민이 도시가스 계량기를 살펴보고 있다./문재원 기자

서울 도심의 주택가에서 한 주민이 도시가스 계량기를 살펴보고 있다./문재원 기자

문제는 공공요금이다. 전력·가스·수도 및 폐기물은 0.5% 상승했다. 천연가스 가격 상승으로 산업용도시가스가 5.3% 급등했기 때문이다. 20일 기준으로 뉴욕상업거래소에서 천연가스(7월분)의 가격은 100만BTU당 2.74달러로 3개월 전보다 61% 올랐다. 유성욱 한은 물가통계팀장은 “산업용도시가스 같은 경우 연료비연동제가 되면서 천연가스 단가 상승에 따라 가격이 올랐다”고 말했다.

서비스 물가도 0.5% 올랐다. 음식점 및 숙박(0.2%), 운송(0.2%) 등이 오른 가운데 정보통신 및 방송(2.4%)의 상승폭이 컸다. 유 팀장은 “공공기관에서 소프트웨어 관련 대가를 산정할 때 단가가 되는 개발 표준 단계가 인상된 요인이 컸다”고 말했다.

수입품까지 포함해 가격 변동을 측정한 국내 공급물가지수는 전월보다 0.2% 올랐다. 원재료(1.2%), 중간재(0.1%), 최종재(0.1%)가 모두 상승했다.

국내 출하에 수출품까지 더한 총산출물가지수는 농림수산품(-4%)과 공산품(-0.2%) 하락에 힘입어 전월대비 0.1% 떨어졌다.


Today`s HOT
산업단지 프로젝트 기념식 위해 베트남 방문한 싱가포르 총리 역사적으로 중요한 날, 방글라데시 독립기념일 베네수엘라 이민자 지지 시위 6년 전 월마트에서 일어난 총기 난사, 예방이 절실..
저먼윙스 비행기 추락 10년, 추모하기 위해 모인 사람들 꽃이 피고 화창한 날이 온 미국과 영국의 어느 도시
캘리포니아주에서 열린 다저스 팀의 야구 훈련 프랑스에서 벌어진 노동조합의 임금 문제 요구 시위
계속되는 달러와 연료 부족, 거리로 나선 목장주와 사업가들 눈보라와 많은 비를 뚫고 지나가는 사람들 계속되는 남동부 지역 산불, 대응에 보강 필요.. 칠레에도 피해주는 산불, 힘을 모아 진화하는 소방관들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