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이종섭, 채 상병 사건 이후 국정원과 통화...윤 대통령 동기와도 연락”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이종섭, 채 상병 사건 이후 국정원과 통화...윤 대통령 동기와도 연락”

입력 2024.06.21 16:34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 21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열린 ‘순직 해병 진상규명 방해 및 사건은폐 등의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 임명법’(채상병특검법)에 대한 입법청문회에서 사건 개요를 설명하고 있다. 성동훈 기자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 21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열린 ‘순직 해병 진상규명 방해 및 사건은폐 등의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 임명법’(채상병특검법)에 대한 입법청문회에서 사건 개요를 설명하고 있다. 성동훈 기자

조국혁신당 박은정 의원이 21일 ‘해병대 채 상병 사망 사건’과 관련해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 사건 이후인 지난해 8월9일 국가정보원 측과 통화했다고 밝혔다.

박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채 상병 사망사건 수사외압 의혹에 관한 특별검사법’(채 상병 특검법) 입법청문회에서 “(이 전 장관이) 지난해 8월9일 12시33분에 걸려 온 전화를 3분 30초가량 받은 것으로 돼 있다. 발신지는 서초구 내곡동 국정원이었다”며 “국정원 관계자와 통화한 것”이라고 말했다.

박 의원은 이어 “8월 9일 국방부에서 가장 중요한 사안은 채 상병 사망 사건이었다”라며 “이 시점에 왜 국정원 관계자와 통화를 하느냐. 뭔가 상의를 한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이 전 장관은 누구와 통화한 것인지 묻는 박 의원을 향해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말했다. 또 “제가 국정원 직원하고 상의할 이유가 없다”며 “만약 (통화를) 했다면 이 문제와는 전혀 관계가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 의원은 또 이 전 장관에게 같은 해 8월3일 윤석열 대통령의 사법연수원 동기인 고석 변호사와도 통화를 했는지 물었다. 이 전 장관은 “전화가 와서 제가 받았다”며 “무슨 얘기를 했는지는 기억은 전혀 없지만, 최소한 이 사안과 관계가 없다는 것은 말씀드릴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고씨에게 채 상병 사건과 관련해 지시받은 것이 있느냐’는 질문에도 “전혀 관계가 없다”고 말했다.

반면 박정훈 대령의 법률대리인인 김정민 변호사는 이 전 장관과 고씨의 대화가 “매우 부적절”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 변호사는 “고씨는 육사 출신이고 군법무관에 재직한 이로, 김동혁 국방부 검찰단장의 정신적 지주처럼 매우 친한 관계라는 게 법무관들 사이 알려진 것”이라며 “(박 대령에 대한) 입건과 구속영장 청구, 이것이 순리적 방법에 의한 게 아니라 대통령 최측근 비선에 의해 결정된 거 아닌가 의심된다”고 말했다.

김 변호사는 이 전 장관과 국정원과의 통화와 관련해서도 “7월31일 대통령 격노가 있었다는 그날도 박진희 군사보좌관이 방첩사령관과 통화했다”며 “이 부분도 의미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