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함께 지구를 지켜 주세요”…‘폐페트병 유니폼’ 입고 축구하는 아이들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함께 지구를 지켜 주세요”…‘폐페트병 유니폼’ 입고 축구하는 아이들

입력 2024.06.23 14:29

지난 15일 오전 광주광역시 광산구 한 야외 축구경기장에서 열린 광주광역시축구협회 주최 유치부 축구리그에서 페트병으로 만든 친환경 축구복을 입은 태클씨씨 팀 아이들이 상대팀 공을 뺏기위해 달려들고 있다. 고귀한 기자

지난 15일 오전 광주광역시 광산구 한 야외 축구경기장에서 열린 광주광역시축구협회 주최 유치부 축구리그에서 페트병으로 만든 친환경 축구복을 입은 태클씨씨 팀 아이들이 상대팀 공을 뺏기위해 달려들고 있다. 고귀한 기자

주말인 지난 15일 오전 광주광역시축구협회 주최 7대7 유치부 축구리그가 열린 광산구 한 야외 축구경기장에서 4명의 아이가 상대 팀 7명을 상대하며 고군분투하고 있었다. 공을 잡기만 하면 여러 명이 달려들면서 빼앗기기 일쑤였고, 골키퍼는 쉴새 없이 날아드는 공을 막아내는 데 여념이 없었다. 결과는 8대 0 완패.

이 팀은 애초 출전하기로 돼 있었던 3명의 아이가 급작스러운 사정으로 출전을 하지 못했다. 아이들은 선수가 부족한 까닭에 생긴 패배여서 아쉬워할 법도 했지만, 훌훌 털고 일어나 환하게 웃어 보였다.

아이들의 가리킨 상의에는 ‘1.5℃’라는 로고가 있다. 1.5℃는 파리기후협약에서 정한 온도 상승 저지선이다. 이 축구복은 버려진 페트병 13개를 재활용한 친환경 소재로 만들어졌다. 등 번호 5번 김가윤양(6)은 “다른 친구들도 우리와 같이 지구를 지키는데 함께 했으면 좋겠다”라고 말했다.

가윤양이 활동하고 있는 팀은 ‘기후위기를 타개하자’라는 의미를 담은 ‘태클씨씨(Tackle Climate Crisis)’다. 이번 리그에 출전한 광주지역 8개 팀 중 유일하게 서로 다른 유치원에 다니는 아이 14명이 모여 만들어진 연합팀이다.

지난 15일 오전 광주광역시 광산구 한 야외 축구경기장에서 열린 광주광역시축구협회 주최 유치부 축구리그에서 페트병으로 만든 친환경 축구복을 입은 태클씨씨 골키퍼가 상대팀 선수가 찬 공을 막기 위해 몸을 날리고 있다. 고귀한 기자

지난 15일 오전 광주광역시 광산구 한 야외 축구경기장에서 열린 광주광역시축구협회 주최 유치부 축구리그에서 페트병으로 만든 친환경 축구복을 입은 태클씨씨 골키퍼가 상대팀 선수가 찬 공을 막기 위해 몸을 날리고 있다. 고귀한 기자

태클씨씨는 지난 4월 창단했다. 유아 관련 교육 사업가이자 변호사인 주재헌 현 태클씨씨 대표(40)의 역할이 컸다. 서울에서 변호사 활동을 하던 주 대표는 2018년 영국으로 건너가 환경법을 공부했다. 이 과정에서 기후위기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어린 시절부터 이어온 ‘생활 습관’이 가장 중요하다’는 생각을 했다고 한다.

이후 주 대표는 광주환경운동연합과 체육시민연대, 한국사립유치원협회 광주지회, 스포츠 교육·컨설팅 업체인 이스포우스 얼스 등에 ‘환경문제를 알리는 어린이 축구단을 만들어 보자’며 제안했고, 그 결실이 태클씨씨다.

여느 축구팀처럼 감독과 코치도 있다. 주 대표는 아이들의 포지션 정하고 전략을 구사하는 감독을 하고 하고 있다. 주 대표는 한때 토트넘에서 활약하고 있는 손흥민 선수의 자문 변호사를 맡을 정도로 축구에 관심이 많다. 사진작가이자 7부 아마추어 축구선수로 활동하는 조호현씨(27)가 재능기부로 코치 역할을 자처하고 있다.

태클씨씨는 창단한 지 두 달여 밖에 되지 않았지만, 아이들에게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다. 김시우군(7)의 어머니 최문정씨(43)는 “페트병에 음료를 넣어서 주면 아이가 ‘지구를 생각해야 한다’며 다시 텀블러에 담아 달라는 요구를 한다”며 “아이로 인해 쓰레기의 분리배출이 더 엄격해졌다”고 말했다. 김가윤양(6)의 아버지 김현씨(41)는 “아이가 평소 밥을 잘 먹지 않았는데 활동량 때문인지 이제는 음식도 가리지 않고 잘 먹는다. 성격도 많이 활발해진 것 같다”고 밝혔다.

태클씨씨의 목표는 더 많은 사람들에게 기후 위기에 대한 경각심을 갖게 하고 환경의 중요성을 알리는 것이다. 주 대표는 “냉·난방 온도 낮추기, 물 티슈 적게 쓰기 등 생활 습관을 고치는 것만으로도 아이들이 살아갈 지구에는 큰 도움이 된다”면서 “태클씨씨가 많은 사람들에게 환경의 중요성을 알리는 등 지속해 활동할 수 있도록 더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