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수도권 대체 매립지 3차 공모도 실패…윤석열 대통령·유정복 인천시장 종료 ‘헛공약’ 가능성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수도권 대체 매립지 3차 공모도 실패…윤석열 대통령·유정복 인천시장 종료 ‘헛공약’ 가능성

“아직까지 신청 자치단체 한 곳도 없어”

인천 서구에 위치한 수도권매립지 제3-1 매립장에 쓰레기를 매립하고 있다.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제공

인천 서구에 위치한 수도권매립지 제3-1 매립장에 쓰레기를 매립하고 있다.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제공

인천 서구에 있는 수도권매립지를 대체할 매립지 공모가 또 실패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이 3번째다.

환경부 산하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는 지난 3월28일부터 25일까지 90일 동안 대체 매립지 공모를 진행했지만 24일까지 응모한 자치단체는 한 곳도 없다고 밝혔다. 2021년 1·2차 공모에 이어 3년만에 진행된 3차 공모도 사실상 불발된 셈이다.

매립지공사는 공모기간 중 서울과 경기, 인천에서 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설명회를 했다. 매립지공사 관계자는 “3개 시·도 66개 기초단체 중 40개 이상이 설명회에 참석했다”며 “선출직 자치단체장들은 지역주민들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는 데다, 아직도 님비 현상(내 뒷마당에서는 안 된다·Not In My Backyard)’이 심한 것 같다”고 말했다.

이번 3차 공모는 1·2차 공모와 달리 매립지 면적을 줄이고 특별지원금도 대폭 늘리는 등 혜택을 대폭 강화했다. 자치단체에 제공되는 특별지원금을 2500억원에서 3000억원으로 늘렸고, 2026년부터 생활폐기물 직매립이 금지돼 소각재만 매립할 수 있어 부지 면적도 1차 220만㎡, 2차 130만㎡에서 90만㎡로 축소했다.

3차 공모도 실패함에 따라 환경부와 서울시·경기도·인천시 등 4차 협의체는 더 많은 혜택을 제공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4차 공모에 나설지 주목된다.

서울과 경기·인천 등 수도권 2600만명이 매일 버리는 쓰레기를 매립하는 수도권매립지는 인천 서구에 1992년 조성됐다. 제1·2매립장은 종료됐고, 현재 3-1 매립장 103㎡에 쓰레기를 매립하고 있다.

인천시는 30여년간 수도권매립지 인근에 사는 주민들은 악취와 날림먼지 등으로 막대한 피해를 보고 있다며 2025년 하반기 운영 종료를 선언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대선 때 임기 중 수도권매립지 사용 종료를 선언하고 대체 매립지 조성을 추진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를 위해 국무총리실에 수도권매립지 전담 기구를 설치하겠다고 했다. 유정복 인천시장도 2022년 지방 선거에서 임기 내 사용 종료를 공약으로 내세웠다.

매립지공사 관계자는 “대체 매립지를 신청한 자치단체가 없지만, 신청하더라도 인·허와 환경영향평가, 주민 수용성 등을 고려하면 대체 매립지 조성까지 최소 2~3년 이상 걸린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향후 대체 매립지가 선정되더라도 윤석열 대통령과 유정복 인천시장의 공약은 ‘헛공약’이 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한편 인천 서구와 검단 주민 등이 포함된 수도권매립지 문제해결 범시민운동본부는 지난 22일 ‘윤석열 대통령은 임기 내 대체 매립지 확보 공약을 조속히 이행하라’는 촉구대회를 개최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