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변희수 하사, 숨진 지 3년 만에 현충원에 눕다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변희수 하사, 숨진 지 3년 만에 현충원에 눕다

유족·친구 환송 속 안장식…“혐오 맞선 용기 헛되지 않아”

성확정(성전환) 수술 후 강제 전역 처분을 받고 숨진 변희수 하사의 안장식이 24일 대전 유성구 국립대전현충원에서 열리고 있다. 문재원 기자 mjw@kyunghyang.com

성확정(성전환) 수술 후 강제 전역 처분을 받고 숨진 변희수 하사의 안장식이 24일 대전 유성구 국립대전현충원에서 열리고 있다. 문재원 기자 mjw@kyunghyang.com

“고 변희수 하사는 수년간 갖가지 혐오적 발언과 차별적인, 모욕적인 언사를 견뎌내고 긴 시간을 돌아 현충원에 왔습니다.”

임태훈 군인권센터 소장이 24일 대전 유성구 국립대전현충원 충혼당에서 진행된 변 하사 안장식에서 추모사를 낭독하자 추모객들은 흐느끼기 시작했다. 일부 추모객들은 참았던 눈물을 손수건으로 닦아냈다. 변 하사의 부친은 단상 위의 영정을 제대로 쳐다보지도 못한 채 안장식 내내 고개를 숙이고 있었다.

이날 안장식에는 변 하사를 추모하는 또래 친구 등 100여명이 찾았다. 변 하사의 유족들과 군인권센터, 변희수재단 준비위원회 등은 차례로 헌화에 나서 고인의 넋을 기렸다.

변 하사는 2019년 성확정(성전환) 수술을 받은 뒤 군으로부터 강제 전역 조치를 당하고 2021년 3월3일 숨진 채 발견됐다. 그가 현충원에 안장된 건 숨진 지 1209일 만이다. 변 하사는 사망 3년여 후인 지난 4월 순직을 인정받았으며, 지난 5일 국가보훈부로부터 대전현충원 안장이 결정됐다.

임 소장은 “오늘의 현충원 안장이 앞으로의 고통과 힘듦을 평생 가슴속에 묻고 가야 할 유족들에게 작은 위안이 됐으면 하는 바람뿐”이라며 “긴 시간을 돌고 돌아 오늘에서야 변 하사가 이곳 순국 선열들이 계신 곳에 함께할 수 있는 시간이 주어졌다”고 추모사를 낭독했다.

카이스트 학생·소수자인권위원회에서 활동하고 있는 하모씨(23)는 “그동안 변 하사가 겪은 차별과 그로 인한 고통을 생각하면 분노와 슬픔을 느끼지만, 이번 현충원 안장은 변 하사의 용기와 투쟁이 헛되지 않았다고 느껴진다”며 “변 하사의 용기에 많은 사람이 위로를 받았고, 하늘나라에서는 편히 쉬기만을 바란다”고 추모했다. 향후 군인권센터는 변 하사의 명예를 되찾기 위한 활동에 나선다는 입장이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