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효율 탄소포집’에 3조원 쓴다는 정부

김기범 기자

시민환경연 보고서 “성공률 17%에 그치고 사고 위험 커”

예타 진행 중…“동해가스전 CCS 실증사업 추진 중단을”

전 세계에서 수행된 ‘탄소포집’ 프로젝트의 성공률이 17%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주요 온실가스 감축 수단으로 꼽고 있는 ‘탄소 포집·저장’(CCS)의 효율이 극히 낮을 뿐 아니라 안전성에도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시민환경연구소는 24일 ‘가장 억지스러운 기후위기 해법’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1995~2018년 진행된 탄소 포집 프로젝트들을 분석한 결과 83%가 실패로 끝난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계획된 프로젝트의 저장 용량과 실제 실행으로 저장된 용량을 비교한 것이다.

CCS는 화석연료 기반 산업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수백~수천m 지하에 저장하는 기술을 말한다. 포집한 이산화탄소를 응축, 수송하는 과정도 포함된다. 정부는 ‘탄소 포집·저장·활용(CCUS)’을 온실가스 감축의 주요 수단으로 꼽고 있다. 하지만 환경단체는 물론 학계에서도 아직은 갈 길이 먼 상태라고 보고 있다.

연구소는 특히 CCS 기술의 효율이 매우 낮고, 안전성에도 문제가 있다고 봤다. 지난해 기준 전 세계 설비를 모두 동원해 포집 가능한 온실가스 양은 전 세계 배출량의 0.1%에 불과한 약 45MtCO₂(이산화탄소 환산 메가톤) 수준으로 분석된다. 연구소는 “해외에서도 CCS는 온실가스 감축 수단 중 가장 비싼 것이라는 평가가 있다”고 했다.

이산화탄소를 수송하고 저장하는 과정에서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도 문제다. 2020년 미국 미시시피주에서는 이산화탄소를 수송하는 파이프라인에 결함이 발생하면서 고농도의 이산화탄소가 누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국내의 CCS 기술은 초기 단계다. 탄소 포집 기술은 보령과 하동 석탄화력발전소 등에서 실증 단계에 있고, 저장 기술은 아직 걸음마조차 떼지 못했다. 지질자원연구원이 국내 육상의 지하에 저장할 지층이 있는지 탐사했으나 적합한 곳을 찾지 못했다.

현재 정부는 동해가스전을 활용한 CCS 실증사업을 추진 중이다. 예타를 통과한다면 국내 최초 ‘탄소 저장’ 실증 사업이 된다. 정부는 당초 매년 40만t씩 30년에 걸쳐 탄소를 저장하는 것을 목표로 예산 1조원을 들이는 내용으로 사업을 추진했다. 그러다 올해 초 연 120만t씩 10년 동안 탄소를 저장하는 것으로 사업 내용을 바꿨다. 예산도 3조원으로 껑충 뛰었다.

하지만 국내에는 해저를 대상으로 한 사업의 해양 환경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법적 장치가 마련돼 있지 않다. 환경영향평가를 위한 충분한 시간 없이 동해가스전 CCS 사업이 진행될 우려가 있는 것이다.

보고서는 “전 세계적으로 탄소 포집·저장 프로젝트는 높은 실패율을 기록하고 있으며, 성공 사례로 꼽히는 곳에서조차 운영을 줄여나가고 있다”면서 “정부는 동해가스전 CCS 사업 추진을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연구소는 “해저 지층에 이산화탄소를 주입하는 초유의 개발 사업인 만큼, 사전 예방적 조치를 위해 환경영향평가에 충분한 시간을 투입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연구소는 이 보고서를 국회와 산업통상자원부에 전달할 계획이다.


Today`s HOT
연말 시즌, 바쁜 우체국 물류 센터 홍수로 인해 임시 대피소 마련한 말레이시아 3-2로 우승한 미네소타 와일드 하키 팀 스위스 농부들의 시위
폭스바겐 노동자들의 파업 집회 10년 전 불에 탄 러시아 시인의 흉상, 복원 작업을 시작하다.
마이애미 비치에서 선보인 아트 전시회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돕는 아프가니스탄 적십자 병원
미국의 어느 화창한 날 일상의 모습 홍수로 침수된 말레이시아 상황 볼리비아 연례 크리스마스 퍼레이드 네팔 장애인의 날 기념 집회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