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몰강물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몰강물

[임의진의 시골편지]몰강물

장마가 시작되자 목마르던 수국이 양껏 물을 마신다. 비에 쓸려나갈 집도 아니고, 비에 떠내려갈 ‘빼빼시’(마른 몸)도 아닌데 어찌 지내냐 걱정들을 하고 그래. “암시랑토 안해~” 답한다. 그럭저럭 정도가 아니라 단호하게, 아주 괜찮다는 말을 이 동네에선 그리한다. “도농놈의 자슥들~ 얼척이 없어가꼬 말이 안 나오네잉” 뉴스를 째려보던 아재가 넘기는 탁배기 한 사발. 찌륵찌륵 비도 내리고 부추전은 구수한 냄새. 인생 탁한 물이 흐르는 듯하면 밝고 고운 벗님 만나서 어둠을 씻는다. 여기선 맑은 물을 ‘몰강물’이라고 해. 몰강물이 하늘에서도 내리고 땅에서도 흐른다. 곽재구 시인의 ‘참 맑은 물살’ 그 시처럼 맑은 물이 쏟아진다. “참 고운 물살 머리카락 풀어 적셨네 (…) 아무 때나 만나서 한 몸 되어 흐르는 눈물나는 저들 연분홍 사랑 좀 봐”

인도에 가면 요가왕 ‘꼰다리 또꽈’, 일본에 가면 쌈박질 잘한다는 ‘깐이마 또까’, 장맛비에 걸어가는 ‘비사이로 마까’도 있다지만 대한민국에는 어떤 일에도 흔들리지 않는 ‘암시랑토 안해’를 입에 달고 사는 저이들 만나 마음을 기댄다. 물이 불어 찰랑거리는 강물 바라보며 논밭을 걱정하고, 개망초 피어난 들에 서서 멀리 사는 자녀들 두루 염려한다.

“비가 올라고 그랑가 삭신이 쑤시오잉.” 날씨예보가 몸으로 찾아오는 늙은 아미타불, 아니 엄니타불이 산중 절이 아닌 가까운 교회에 찾아가 싹싹 빌며 기도하는 내용. “우리 자석들 조깐 잘되게 해주쇼잉. 아조아조 약조를 해주쇼잉. 내가 죽고 없어도 당신이 조깐 챙겨주쇼잉. 두고두고 살펴주쇼잉.”

매미가 싸름 싸르르름 싸르름 울 듯 울며불며 애원하는 소리가 장대비 소리보다 크고 높아라.

  • AD
  • AD
  • AD

연재 레터를 구독하시려면 뉴스레터 수신 동의가 필요합니다. 동의하시겠어요?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콘텐츠 서비스(연재, 이슈, 기자 신규 기사 알림 등)를 메일로 추천 및 안내 받을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아니오

레터 구독을 취소하시겠어요?

구독 취소하기
뉴스레터 수신 동의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안녕하세요.

연재 레터 등록을 위해 회원님의 이메일 주소 인증이 필요합니다.

회원가입시 등록한 이메일 주소입니다. 이메일 주소 변경은 마이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
보기
이메일 주소는 회원님 본인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합니다. 이메일 주소를 잘못 입력하신 경우, 인증번호가 포함된 메일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뉴스레터 수신 동의
닫기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로 인증메일을 발송했습니다. 아래 확인 버튼을 누르면 연재 레터 구독이 완료됩니다.

연재 레터 구독은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