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양광 발전설비가 구축된 대전 R&D센터. LG유플러스 제공
정부가 오는 2030년까지 산업단지에 6기가와트(GW) 규모의 태양광 설비를 구축하겠다고 3일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날 최남호 2차관 주재로 열린 ‘재생에너지 정책협의회’에서 이 같은 내용의 ‘산단 태양광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앞서 정부는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연간 6GW 이상의 재생에너지를 확보하기로 했다. 그러나 전력 수요가 많지 않은 곳에 태양광 설비를 들이면 과다 생산된 전력을 수요지로 보내기 위해 전력망을 길게 설치하는 등 계통 부담이 커진다. 지역 주민들의 반발에 부닥칠 수도 있다.
이에 정부는 산단의 경우 전력 사용량이 많은 기업이 밀집해 있어 계통 부담이 적다는 점을 주목했다. 현재 전국 산단에는 2.1GW 규모의 태양광 설비가 들어서 있다. 정부는 향후 12GW까지 추가 보급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산업부는 2030년까지 산단 태양광 6GW 보급을 목표로 입지 확보, 인허가, 설비 운영 등 사업 전 주기에 걸친 맞춤형 지원 등의 활성화 방안을 마련했다.
우선 산단별 협의체를 대상으로 사업·투자 설명회를 개최해 입주기업의 참여를 유도하고 컨설팅을 통해 사업 모델을 구체화한다. 인허가 단계에서는 처리 현황을 실시간으로 제공해 기간을 단축하고, 운영단계에서는 체계적인 유지·보수를 통해 안정성 확보를 지원한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유관 기관으로 구성된 협의체를 중심으로 공공 시범사업도 추진한다. 올해 천안·대불·울산·포항 산단 등지에서 총 240메가와트(MW) 규모의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공장주와 근로자가 참여할 방안을 검토한다. 산단 근로자가 태양광 사업에 참여하면 부가 수입이 증가해 산단 내 태양광 보급 확대뿐만 아니라 근로자의 장기근속 유지 등의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산업부는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정부는 산단에 입주한 기업의 참여를 확대하기 위해 입찰 우대, 설비 철거 보험상품 신설 등을 담은 ‘산단기업 참여형’ 제도를 마련할 계획이다.
최남호 2차관은 “우리나라의 제한된 입지 상황에서 산단은 질서 있는 태양광 보급의 최적 입지”라며 “공공 주도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비용 효율적인 보급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