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키워봐야 남는 건 소똥뿐…’ 한우 농가 한우 반납 집회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키워봐야 남는 건 소똥뿐…’ 한우 농가 한우 반납 집회

입력 2024.07.03 17:29

전국한우협회 소속 회원들이 3일 국회 앞에서 전국 한우농가 한우산업 안정화 촉구 한우 반납 투쟁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성동훈 기자

전국한우협회 소속 회원들이 3일 국회 앞에서 전국 한우농가 한우산업 안정화 촉구 한우 반납 투쟁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성동훈 기자

경영난을 겪는 한우 농가들이 3일 국회 앞에서 ‘한우 반납’ 집회를 열고 정부와 국회에 지원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날 전국한우협회 회원 1만2천여 명은 지속 가능한 한우 산업을 위한 지원법(한우법) 제정과 한우 암소 2만 두 긴급 격리, 사료 가격 즉시 인하, 사료구매자금 상환기한 2년 연장 및 분할상환, 긴급 경영안정자금 지원 등을 요구했다. 이후 참석자들은 삭발식과 모형 소를 정부에 반납하는 퍼포먼스를 벌였다. 이 집회가 열린 것은 2012년 이후 12년 만이다.

3일 국회 앞에서 열린 전국 한우농가 한우산업 안정화 촉구 한우 반납 투쟁에서 전국에서 모인 참석자들이 사료값 즉시 인하와 긴급 경영 안전 자금 지원 등을 촉구하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 성동훈 기자

3일 국회 앞에서 열린 전국 한우농가 한우산업 안정화 촉구 한우 반납 투쟁에서 전국에서 모인 참석자들이 사료값 즉시 인하와 긴급 경영 안전 자금 지원 등을 촉구하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 성동훈 기자

3일 국회 앞에서 열린 전국 한우농가 한우산업 안정화 촉구 한우 반납 투쟁에서 전국에서 모인 참석자들이 사료값 즉시 인하와 긴급 경영 안전 자금 지원 등을 촉구하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  성동훈 기자

3일 국회 앞에서 열린 전국 한우농가 한우산업 안정화 촉구 한우 반납 투쟁에서 전국에서 모인 참석자들이 사료값 즉시 인하와 긴급 경영 안전 자금 지원 등을 촉구하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 성동훈 기자

3일 국회 앞에서 열린 전국 한우농가 한우산업 안정화 촉구 한우 반납 투쟁에서 전국한우협회 임원들이 삭발식을 하고 있다. 성동훈 기자

3일 국회 앞에서 열린 전국 한우농가 한우산업 안정화 촉구 한우 반납 투쟁에서 전국한우협회 임원들이 삭발식을 하고 있다. 성동훈 기자

전국한우협회 소속 회원들이 3일 국회 앞에서 전국 한우농가 한우산업 안정화 촉구 한우 반납 투쟁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성동훈 기자

전국한우협회 소속 회원들이 3일 국회 앞에서 전국 한우농가 한우산업 안정화 촉구 한우 반납 투쟁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성동훈 기자

전국한우협회 소속 회원들이 3일 국회 앞에서 전국 한우농가 한우산업 안정화 촉구 한우 반납 투쟁 퍼포먼스를 마친 뒤  경찰과 대치하고 있다.  성동훈 기자

전국한우협회 소속 회원들이 3일 국회 앞에서 전국 한우농가 한우산업 안정화 촉구 한우 반납 투쟁 퍼포먼스를 마친 뒤 경찰과 대치하고 있다. 성동훈 기자

전국한우협회 소속 회원들이 3일 국회 앞에서 전국 한우농가 한우산업 안정화 촉구 한우 반납 투쟁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성동훈 기자

전국한우협회 소속 회원들이 3일 국회 앞에서 전국 한우농가 한우산업 안정화 촉구 한우 반납 투쟁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성동훈 기자

앞서 한우 농가 지원을 위한 한우법은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지만, 윤석열 대통령의 재의요구권(거부권) 행사로 폐기됐다.

전국한우협회 소속 회원들이 3일 국회 앞에서 전국 한우농가 한우산업 안정화 촉구 한우 반납 투쟁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성동훈 기자

전국한우협회 소속 회원들이 3일 국회 앞에서 전국 한우농가 한우산업 안정화 촉구 한우 반납 투쟁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성동훈 기자

  • AD
  • AD
  • AD

연재 레터를 구독하시려면 뉴스레터 수신 동의가 필요합니다. 동의하시겠어요?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콘텐츠 서비스(연재, 이슈, 기자 신규 기사 알림 등)를 메일로 추천 및 안내 받을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아니오

레터 구독을 취소하시겠어요?

구독 취소하기
뉴스레터 수신 동의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안녕하세요.

연재 레터 등록을 위해 회원님의 이메일 주소 인증이 필요합니다.

회원가입시 등록한 이메일 주소입니다. 이메일 주소 변경은 마이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
보기
이메일 주소는 회원님 본인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합니다. 이메일 주소를 잘못 입력하신 경우, 인증번호가 포함된 메일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뉴스레터 수신 동의
닫기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로 인증메일을 발송했습니다. 아래 확인 버튼을 누르면 연재 레터 구독이 완료됩니다.

연재 레터 구독은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