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9 이송환자 거부한 병원들, 10건 중 4건이 “의사 없어서”

이혜인 기자

작년 응급실 전전 사례 총 4227건

전문의 부재 41%·병상 부족 15%

조국혁신당 김선민 의원실 자료에 따르면 지난 한 해 119구급대로 병원에 이송됐따가 병원 거부로 다른 병원으로 이송된 경우 중 10건 중 4건이 전문의 부족이었다. 사진|경향신문 자료사진

조국혁신당 김선민 의원실 자료에 따르면 지난 한 해 119구급대로 병원에 이송됐따가 병원 거부로 다른 병원으로 이송된 경우 중 10건 중 4건이 전문의 부족이었다. 사진|경향신문 자료사진

지난해 환자가 119구급대를 통해 병원에 이송됐으나 수용을 거부당해 다른 병원으로 재이송된 사례 10건 중 4건은 전문의가 없었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9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선민 조국혁신당 의원실이 소방청에서 받은 ‘119구급대 재이송 건수 및 사유 현황’ 자료를 보면, 지난해 119구급대로 환자가 이송됐으나 병원의 거부로 다른 병원으로 재이송된 경우는 총 4227건이다.

이중 한 번 재이송된 경우가 4113건으로 가장 많았다. 2번은 84건, 3번은 14건이었고 4번이나 재이송된 경우도 16건이나 있었다.

재이송 사유 중 10건 중 4건인(41.9%)인 1771건이 ‘전문의 부재’ 때문이었다. ‘기타’(1121건·26.5%), ‘병상 부족’(635건·15%), ‘1차 응급처치’(476건·11.3%), ‘환자 보호자 변심’(141건·3.33%), 응급처치가 필요하지 않은 ‘주취자’(43건·1.0%), ‘의료 장비 고장’(40건·0.94%) 등이 뒤를 이었다.

재이송 사유 중 ‘병상 부족’(635건)의 세부사유를 보면, 응급실에 자리가 없던 경우가 454건(71.5%)로 가장 많았다. 입원실 부족(92건), 중환자실 부족(85건), 수술실 부족(4건) 등이었다.

이같은 환자 재이송은 올해 1~6월에도 반복됐다. 이 기간 119구급대로 환자가 이송됐으나 병원이 받아주지 않아 재이송된 사례는 총 2645건이었다. 한 번 재이송된 경우는 2533건, 2번은 83건, 3번은 12건, 4번은 17건 등이었다. 재이송 원인은 작년과 마찬가지로 가장 많은 1081건(40.86%)이 ‘전문의 부재’였다.

‘1차 응급처치’(359건·13.6%), ‘병상 부족’(338건·12.8%), ‘환자 보호자 변심’(86건·3.25%), ‘의료 장비 고장’(35건·1.32%), ‘주취자’(24건·0.9%) 등의 이유로 환자들이 재이송됐다. ‘기타’는 722건(·27.3%)이다.


Today`s HOT
진화율 진척, 추가 확산 막으려는 장병들과 시민들 이드 알피트르에 앞서 옷을 구매하려는 여성들 봄을 맞이하는 준비하는 보트 수리공 남미 볼리비아, 우기로 침수된 거리..
베네수엘라 이민자 지지 시위 용암 분출 잦은 하와이 킬라우에아 화산
역사적으로 중요한 날, 방글라데시 독립기념일 잠시나마 쉬어가는 란체론 해변
산업단지 프로젝트 기념식 위해 베트남 방문한 싱가포르 총리 올해의 신간 홍보 준비하는 라이프치히 도서전 신기한 영국의 소인국 레고랜드, 사람들의 관심을 끌다. 벚꽃이 만개한 이탈리아 토리노 공원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