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면·김밥·자장면 또 올랐다…삼계탕 1만7000원 육박

정유미 기자
경향신문 자료사진

경향신문 자료사진

연일 치솟는 물가에 서민들의 시름이 깊어지는 가운데 서울 지역 외식 대표 메뉴 중 냉면과 김밥, 자장면, 칼국수, 비빔밥 등 5개 가격이 또 올랐다.

초복(7월15일)에 앞서 삼계탕 한 그릇 가격은 이미 오를 대로 올라 지난 4월부터 3개월째 1만6885원으로 1만700원에 육박하고 있다.

11일 한국소비자원 가격정보종합포털 ‘참가격’에 따르면 서울 기준으로 소비자들이 많이 찾는 8개 외식 대표 메뉴 중 냉면 가격이 지난 5월 1만1692원에서 6월에는 1만1923원으로 올랐다.

같은 기간 김밥은 3423원에서 3462원으로, 자장면은 7223원에서 7308원으로 뛰었다. 칼국수 한 그릇은 9154원에서 9231원으로, 비빔밥은 1만846원에서 1만885원으로 올랐다.

삼계탕(1만6885원)과 1인분(200g)에 2만원을 돌파한 삼겹살(2만83원), 김치찌개백반(8192원) 등 3개 품목의 6월 가격은 전달과 동일했다.

그러나 서울 지역 삼계탕 한 그릇 가격은 7년 전보다 20.6%(2885원)나 올랐다. 삼계탕은 2017년 6월 1만4000원대에 진입한 후 5년 만인 2022년 7월 1만5000원을 넘어섰고 지난해 1월에는 1만6000원대로 뛰었다.

삼계탕집으로 유명한 토속촌과 고려삼계탕에서는 이미 기본 삼계탕 한 그릇을 2만원에 팔고 있다. 원조호수삼계탕과 논현삼계탕은 1만8000원에 삼계탕을 내놓고 있다.

여름철 인기 메뉴인 냉면 가격도 크게 올랐다. 필동면옥은 1만4000원, 을지면옥·을밀대는 1만5000원, 우래옥·봉피양·평가옥은 1만6000원 등에 팔고 있다.

외식업계 관계자는 “식재료 가격도 올랐지만 인건비, 임차료, 전기·수도세 등 안 오른 게 없어 소비자 가격을 올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유통가에선 삼계탕 등 외식 가격이 크게 오르자 대형마트는 물론 편의점, e커머스, 홈쇼핑까지 ‘홈보양족’(집에서 보신 음식을 즐기는 사람)을 잡기 위한 간편식 판촉전을 벌이고 있다.


Today`s HOT
미국의 폭설로 생겨난 이색 놀이 인도네시아의 뎅기 바이러스로 인한 소독 현장 인도네시아의 설날을 준비하는 이색적인 모습 휴전 이후의 가자지구 상황
가자-이스라엘 휴전 합의, 석방된 팔레스타인 사람들 다수의 사망자 발생, 터키의 한 호텔에서 일어난 화재..
중국의 춘절을 맞이하는 각 나라들의 모습 각 나라 겨울의 눈보라 치고 안개 덮인 거리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식 베를린 국제 영화제 위한 곰 트로피 제작 세계 지도자 평화와 화합 콘서트의 홍타오 박사 타이둥현 군 기지를 시찰하는 라이칭 테 대만 총통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