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MM, 한국행 미국 오렌지 운송 2년간 1위

이진주 기자
HMM의 리퍼 컨테이너를 통해 캘리포니아산 오렌지가 운송되고 있다. HMM 제공

HMM의 리퍼 컨테이너를 통해 캘리포니아산 오렌지가 운송되고 있다. HMM 제공

HMM이 글로벌 선사 가운데 한국으로 수입되는 미국 캘리포니아산 오렌지를 가장 많이 운송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미국의 유력 해운전문지 저널오브커머스(JOC)의 피어스(PIERS) 데이터에 따르면 HMM은 올해 한국향 캘리포니아산 오렌지 총 2982TEU(1TEU는 길이 20피트 컨테이너 1개)를 운송해 시장 점유율 1위(33%)를 차지했다. HMM은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1위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일본의 ONE은 1828TEU로 2위, 프랑스 CMA-CGM이 1286TEU로 3위를 차지했다.

국내에 수입되는 오렌지는 대부분 캘리포니아산으로 매년 1~4월 사이에 운송된다. 오렌지는 냉동·냉장이 가능한 리퍼 컨테이너로 운송되는 대표적인 고부가가치 화물로 선사들의 유치 경쟁이 치열한 품목이다. 특히 태평양을 건너는 장기 운송 과정에서 신선도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고도의 운송 능력이 필수적이다. HMM은 영하 60도까지 냉동이 가능한 울트라 프리저 컨테이너를 운영한다.

HMM은 컨테이너에 사물인터넷(IoT) 장비를 부착해 화물의 실시간 위치 확인은 물론 온도·습도·산소·이산화탄소 농도 등 모니터링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다. 지난달부터 한국, 미국, 멕시코, 칠레 등 7개국 10개 지역에 제공되고 있다.

HMM 관계자는 “냉동·냉장 기술이 발달되면서 수입 과일 등 시장 확대가 예상된다”며 “리퍼 컨테이너 등을 활용한 고부가가치 화물 유치와 시장 점유율 확대에 적극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Today`s HOT
미국의 폭설로 생겨난 이색 놀이 인도네시아의 뎅기 바이러스로 인한 소독 현장 인도네시아의 설날을 준비하는 이색적인 모습 휴전 이후의 가자지구 상황
가자-이스라엘 휴전 합의, 석방된 팔레스타인 사람들 다수의 사망자 발생, 터키의 한 호텔에서 일어난 화재..
중국의 춘절을 맞이하는 각 나라들의 모습 각 나라 겨울의 눈보라 치고 안개 덮인 거리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식 베를린 국제 영화제 위한 곰 트로피 제작 세계 지도자 평화와 화합 콘서트의 홍타오 박사 타이둥현 군 기지를 시찰하는 라이칭 테 대만 총통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