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0년엔 산림지역 기온 2.2도 상승…산불 재난 닥친다

이홍근 기자

산림과학원 기후변화보고서

기온 오르면 습도 낮아져
산불 발생 위험도 13.5% ↑

집중호우에 강수일수 감소
산사태 피해 면적 2.4배 ↑

화석연료를 지속해서 사용하면 2050년대 한반도 산림지역의 평균기온이 2.2도 상승한다는 정부 연구기관의 전망이 나왔다. 이 경우 산불 발생 위험도는 13.5% 이상, 산사태 피해 면적은 2.4배 늘어나고 가문비나무와 눈잣나무가 살 수 있는 환경이 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9일 국립산림과학원의 ‘제1차 산림·임업 분야 기후변화 영향평가 종합보고서’를 보면, 한반도 산림지역의 평균기온은 2050년대에 최대 2.2도 올라 14.1도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6차 보고서가 정한 온실가스 감축경로 시나리오인 공통사회경제경로(SSP)를 이용한 분석으로, 화석연료를 지속 사용한 도시 위주의 개발이 이어진 상황을 가정한 것이다.

이 시나리오대로라면 산림 기온은 계속 상승해 2070년대 15.9도, 2080년대 16.9도, 2090년대엔 17.7도까지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2000년부터 2019년까지 전국 평균기온인 11.9도보다 5.8도 높은 수치다. 재생에너지 기술의 발달로 화석연료 이용을 최소화한 상황을 가정하면 2050년대까지 0.7도, 2090년대까지 1.4도 올라 기온 상승폭이 크게 줄었다.

온도 상승에 비례해 산불 발생 위험도도 올라갔다. 산불 위험의 심각성을 수치화한 산불 발생 위험도를 분석한 결과 1971~2000년 평균 산림 기온보다 1.5도 상승 시 위험도가 8.6%, 2도 상승 시 13.5%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불은 습도와 기온에 영향을 받는데, 산림 기온이 올라갈수록 습도는 낮아지기 때문이라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연구진은 “기후변화로 산불 발생이 급증하고, 산불이 나면 기후변화가 더 심화하는 악순환을 초래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연구진은 기후변화로 산사태 피해 역시 늘어날 것으로 예측했다. 보고서에선 2030년대에 들어서면 에너지 전환과 관계없이 모든 시나리오에서 현재의 2배가 넘는 산사태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됐다. 연구진은 기후변화로 강수량은 증가하지만 강수일수는 감소하는 집중호우 경향이 커지면서 이미 산사태 피해가 늘어나는 추세라고 적었다.

이 밖에도 산림 기온 상승으로 산림 병해충이 증가하고 생물 다양성이 감소하며, 토사 유출량이 늘어나 물 부족 및 가뭄·홍수 빈발 등이 초래될 것이라고 봤다. 특히 2050년대 침엽수림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이 28.5%까지 낮아지고, 눈잣나무·가문비나무 등이 쇠퇴해 절멸 수준까지 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약용 자원인 참당귀 서식지 평균고도가 현재 671m에서 1000m로 높아지고, 늦겨울 기온에 민감한 고로쇠 수액의 출수 시작일도 지금보다 열흘가량 빨라질 것으로 예측했다.


Today`s HOT
네팔의 전통적인 브라타반다 성인식 이스라엘-가자 휴전 협상과 인질 석방 촉구 시위 산불 진압, 복구에 노력하는 소방 대원들 콜롬비아의 높은 섬유 수요, 공장에서 바쁘게 일하는 직원들
차별 종식, 인도에서 열린 트랜스젠더들의 집회 암 치료 받은 케이트 공주, 병원에서 환자들과 소통하다.
브뤼셀에서 열린 근로 조건 개선 시위 악천후 속 준비하는 스페이스X 스타십 로켓 발사
새해 맞이 번영 기원, 불가리아 수바 의식 일본 경제의 활성화, 관광객들의 신사 유적지 방문 놀란 마을 주민들, 멜버른에서 일어난 주택 붕괴.. 태국의 심각한 미세먼지.. 대기 오염을 초래하다.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