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119 이송 환자 거부한 병원들, 10건 중 4건 “의사가 없어서”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119 이송 환자 거부한 병원들, 10건 중 4건 “의사가 없어서”

작년 재이송 4227건 달해

지난해 환자가 119구급대를 통해 병원에 이송됐으나 수용을 거부당해 다른 병원으로 재이송된 사례 10건 중 4건은 전문의가 없었기 때문인 것으로 확인됐다.

9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선민 조국혁신당 의원실이 소방청에서 받은 ‘119구급대 재이송 건수 및 사유 현황’ 자료를 보면, 지난해 119구급대로 환자가 이송됐으나 병원의 거부로 다른 병원으로 재이송된 경우는 총 4227건에 달했다. 이 중 한 번 재이송된 경우가 4113건으로 가장 많았다. 2번은 84건, 3번은 14건이었고 4번이나 재이송된 경우도 16건이나 있었다.

재이송 사유 중 41.9%인 1771건이 ‘전문의 부재’ 때문이었다. ‘기타’(1121건·26.5%), ‘병상 부족’(635건·15%), ‘1차 응급처치’(476건·11.3%), ‘환자 보호자 변심’(141건·3.33%), 응급처치가 필요하지 않은 ‘주취자’(43건·1.0%), ‘의료 장비 고장’(40건·0.94%) 등이 뒤를 이었다. 재이송 사유 중 ‘병상 부족’(635건)의 세부사유를 보면, 응급실에 자리가 없던 경우가 454건(71.5%)으로 가장 많았다. 입원실 부족(92건), 중환자실 부족(85건), 수술실 부족(4건) 등이었다.

이 같은 환자 재이송은 올해 1~6월에도 반복됐다. 이 기간 119구급대로 환자가 이송됐으나 병원이 받아주지 않아 재이송된 사례는 총 2645건이었다. 한 번 재이송된 경우는 2533건, 2번은 83건, 3번은 12건, 4번은 17건 등이었다. 재이송 원인은 작년과 마찬가지로 가장 많은 1081건(40.86%)이 ‘전문의 부재’였다.

‘1차 응급처치’(359건·13.6%), ‘병상 부족’(338건·12.8%), ‘환자 보호자 변심’(86건·3.25%), ‘의료 장비 고장’(35건·1.32%), ‘주취자’(24건·0.9%) 등의 이유로 환자들이 재이송됐다. ‘기타’는 722건(27.3%)이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