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스트 “고령사회 맞춤형 기술 개발”…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와 협약

이종섭 기자
이광형 카이스트 총장(오른쪽)과 주형환 대통령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이 1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저출생·고령화 대응 위한 업무협약’을 맺고 있다. 카이스트 제공

이광형 카이스트 총장(오른쪽)과 주형환 대통령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이 1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저출생·고령화 대응 위한 업무협약’을 맺고 있다. 카이스트 제공

카이스트가 고령사회에 대응한 맞춤형 과학기술 연구 개발에 나선다. 정부는 카이스트가 개발한 기술들이 실생활에 접목되도록 지원해 나가기로 했다.

카이스트는 1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대통령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와 이같은 내용을 담은 ‘저출생·고령화 공동 대응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에 따라 카이스트와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는 초고령사회에 대비한 첨단 기술 개발과 관련 산업 육성을 위해 상호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카이스트는 현재 인류 수명 증가에 대비해 인공지능과 로봇 등을 활용한 치매·대사·면역 등 생체 기능 향상 기술과 근력·시력·청력 등의 물리적 신체 기능 향상 기술 등 고령사회에서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개발 연구를 계획하고 있다.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는 이번 업무협약을 바탕으로 관계부처와 협의해 카이스트에서 진행되는 고령화 대응 연구개발 사업들이 실생활에 적용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관련 산업 육성도 적극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주형환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은 “처음부터 실생활에 적합한 기술들을 선정해 고령자들을 위한 기술이 조기 상용화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며 “이번 협약이 인구 문제와 관련한 기술·산업의 시너지 효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정부 차원에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광형 카이스트 총장은 “저출생·조령화가 전 사회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고려하면 각계각층의 협력이 필수적이며, 카이스트도 과학기술 역량을 총동원해 고령인구의 행복한 삶을 보장하는 연구를 배가시킬 것”이라며 “연구에만 머무르지 않고 실용화 방안을 적극 모색해 산업화를 주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Today`s HOT
화창한 날, 멕시코 해바라기 밭에서의 사람들 로스앤젤레스 항구 그랑프리에 참가한 각국 팀들 뉴욕 슈퍼 웰터급 복싱 경기 우승자, 칼럼 월시 영국에서 열린 '성 패트릭 데이'
아세안 국가 중 GDP 성장 최고인 베트남의 모습 월식 전의 보름달, 관람하고자 모인 사람들
인도 홀리 축제 준비하는 사람들 마이애미 비치에서 휴식을 취하는 사람들
나폴리서 규모 4.4 지진, 새벽부터 놀란 시민들 갑작스런 토네이도로 아수라장된 피코 리베라 기차를 끌어 기네스 인증 받은 레슬링 선수 마흐루스 이스라엘 유대인들을 위한 명절, '푸림'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