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휴가철 앞두고 휘발윳값 다시 1700원대로 올라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휴가철 앞두고 휘발윳값 다시 1700원대로 올라

입력 2024.07.13 15:26

광주 서구 치평동의 한 주유소를 찾은 차량이 주유하고 있다. 연합뉴스

광주 서구 치평동의 한 주유소를 찾은 차량이 주유하고 있다. 연합뉴스

본격적인 휴가철을 앞두고 기름값 오름세가 심상찮다. 이번 주 국내 주유소 휘발유와 경유의 주간 평균 판매 가격이 3주 연속 올랐다.

13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7월 둘째 주(7∼11일) 전국 주유소 휘발유 평균 판매가는 직전 주 대비 ℓ당 24.3원 상승한 1706.6원을 기록했다. 지난 5월 셋째 주(1702.9원) 이후 8주 만에 다시 평균 1700원을 넘었다.

지역별로는 가격이 가장 높은 서울이 직전 주보다 29.0원 상승한 1777.2원, 가격이 가장 낮은 대구는 28.7원 오른 1685.8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가격이 가장 낮은 상표는 알뜰주유소로 ℓ당 평균가는 1676.8원이었다.

경유 평균 판매가격 역시 6월 셋째 주 이후 3주 연속 상승세를 타면서 ℓ당 25.5원 오른 1540.6원을 기록했다.

이 같은 휘발유·경유 가격 상승은 유류세 인하 폭이 축소된 데 따른 것이다. 정부는 유류세 인하를 2개월 연장하면서 지난 1일부터 휘발유 인하율은 기존 25%에서 20%로, 경유 및 LPG부탄 인하율은 37%에서 30%로 각각 축소했다. 경유의 경감폭은 ℓ당 212원에서 174원으로, LPG부탄의 경우 73원에서 61원으로 줄었다.

지난 6월 인상된 국제 유가 상승분도 국내 기름값 상승 요인으로 꼽힌다. 지난주까지 4주 연속 오른 국제유가는 이번 주에는 중국 경기 지표 부진과 중동 지정학 리스크 완화 등의 영향으로 하락했다. 수입 원유가격 기준인 두바이유는 직전 주 대비 배럴당 1.3달러 내린 85.5달러였다.

국제 휘발유 가격은 2.1달러 내린 92.4달러, 국제 자동차용 경유는 2.4달러 내린 100.6달러로 집계됐다. 국제유가 변동은 통상 2∼3주가량 차이를 두고 국내 주유소 가격에 반영된다.

업계에서는 다음 주까지는 국제유가 상승분과 유류세 인하 폭 축소분 반영으로 가격 상승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