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아시아개발은행,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2.2%→2.5% 상향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아시아개발은행,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2.2%→2.5% 상향

부산항에 컨테이너가 쌓여 있다. 연합뉴스.

부산항에 컨테이너가 쌓여 있다. 연합뉴스.

아시아개발은행(ADB)이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을 앞선 4월 전망보다 0.3%포인트 높은 2.5%로 상향했다. 반도체 수출 호조 등의 영향이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ADB는 ‘7월 아시아 경제전망’에서 우리나라의 올해 경제성장률을 4월 전망치인 2.2%에서 2.5%로 0.3%포인트 상향 조정했다. 전날 발표된 국제통화기금(IMF) 전망치(2.5%)와 같고, 한국정부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전망치(2.6%)보다는 낮다.

ADB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49개 회원국을 대상으로 매년 4월 연간 전망을 발표한다. 7월과 9월에는 변동 사항을 반영한 보충·수정 전망을 내놓고 있다.

반도체 등 수출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다는 점이 상향 근거가 됐다. 국내 수출액은 지난해 10월부터 지난달까지 9개월 연속 증가했다. 반도체 수출액이 지난해 11월부터 두 자릿수 증가율을 보이며 증가세를 이끌고 있다. 정부는 전날 올해 반도체 수출액 목표를 연초보다 100억달러 높인 1350억 달러로 수정했다.

ADB는 내년 한국 경제성장률은 2.3%로 4월 전망을 유지했다. 올해와 내년 물가 상승률도 각각 2.5%, 2.0%로 기존 전망과 같았다.

ADB는 올해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경제성장률은 5.0%로 4월 전망(4.9%)보다 0.1%포인트 상향했다. 탄탄한 내수와 전자 제품 등 수출 호조가 성장을 이끌 것이라고 봤다. 내년 경제성장률은 4.9%로 4월 전망을 유지했다. 다만 미국 등 주요국의 정치적 불확실성, 지정학적 긴장 심화, 중국 부동산시장 등 내수침체 지속 등은 하방리스크 요인으로 꼽았다.

올해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물가상승률은 4월 전망(3.2%)보다 0.3%포인트 낮춘 2.9%였다. 통화긴축 영향이 이어지고 있고, 국제식료품 가격 상승률이 둔화하고 있다는 점 등이 물가 하락 요인으로 지목됐다.

올해 중국의 경제성장률은 4.8%로 기존 전망과 같았다. 대만 경제성장률은 기존 전망보다 0.5%포인트 높은 3.5%을 예상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