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우리 삶에 수많은 길이 있어도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우리 삶에 수많은 길이 있어도

  • 이설야 시인
[詩想과 세상]우리 삶에 수많은 길이 있어도
우리 삶에 수많은 길이 있어도
다 무덤으로 향한다.
뚜렷한 희망과 두려움 없이
마지막 남은 힘을 다 쓰고 나면
우리는 모두 그곳에서 만나겠지.
그리고 자신에게 묻겠지.
하필이면 멀고 험한 길을 택해서
왜 모르는 곳을 향해 외롭게 걸었을까?
그리고 왜 온 힘을 들여
그렇게도 급하게 걸어 왔을까?
조용히 기어가는 지렁이도 무덤 바로 앞에서
우리를 따라잡을 수 있었는데 말이지.

막심 박다노비치(1891~1917)


우리 앞에는 언제나 여러 갈래 길이 있었고, 수많은 별이 안개에 젖은 길들을 밝혀 주었다. 그 길에서 우리는 서로 만나거나 갈라지면서 거대한 물결을 만들어 왔다. 우리는 순간을 영원처럼 살기 위해 언제나 열심히 살았다. 언제부턴가 ‘열심’이라는 말이 우리 대신 살기 시작했다. ‘진심’이라는 말이 우리 대신 바빴다.

벨라루스의 시인 막심 박다노비치의 이 시는, 얼핏 노년에 깨달은 인생의 허무나 달관으로 읽히지만, 시인의 생애를 알고 다시 보면 새로운 의미로 다가온다. 시인은 겨우 25세에 결핵으로 세상을 떠났다. 죽음을 앞둔 젊은 시인은 죽음에 대해 스스로에게 질문하고 있다. 하필이면 왜 그렇게 “멀고 험한 길을 택해서” 왔냐고. “왜 온 힘을 들여” 그렇게 “급하게 걸어” 왔냐고.

오늘 “조용히 기어가는” 지렁이에게서 배운다. 생의 바닥에 배를 밀며 ‘열심히’라는 생각 없이, 지렁이는 지렁이라는 마음 없이 무덤까지 길을 밀고 간다.

  • AD
  • AD
  • AD

연재 레터를 구독하시려면 뉴스레터 수신 동의가 필요합니다. 동의하시겠어요?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콘텐츠 서비스(연재, 이슈, 기자 신규 기사 알림 등)를 메일로 추천 및 안내 받을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아니오

레터 구독을 취소하시겠어요?

구독 취소하기
뉴스레터 수신 동의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안녕하세요.

연재 레터 등록을 위해 회원님의 이메일 주소 인증이 필요합니다.

회원가입시 등록한 이메일 주소입니다. 이메일 주소 변경은 마이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
보기
이메일 주소는 회원님 본인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합니다. 이메일 주소를 잘못 입력하신 경우, 인증번호가 포함된 메일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뉴스레터 수신 동의
닫기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로 인증메일을 발송했습니다. 아래 확인 버튼을 누르면 연재 레터 구독이 완료됩니다.

연재 레터 구독은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