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 사고 절반은 ‘과충전’ 때 발생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 사고 절반은 ‘과충전’ 때 발생

최근 5년간 총 612건 발생

사고 중 76% 전동킥보드

전동킥보드와 전기자전거 보급이 확대되면서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소방청 국가화재정보시스템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리튬이온 배터리에 의한 화재는 총 612건이다. 2019년 51건이던 화재는 2023년 179건으로 늘어났다.

전체 화재사고 건수의 76.3%인 467건은 전동킥보드에서 발생했다. 이어 전기자전거(84건·13.7%), 휴대전화(29건·4.7%), 전기오토바이(25건·4%), 전자담배(7건·1.1%) 순이었다.

전체 화재 중 절반 이상인 312건(51%)은 배터리가 과충전 상태일 때 발생했다. 이어 비충전일 때 60건(9.8%), 보관 중 49건(8%), 수리 중 45건(7.4%), 사용 중 44건(7.2%), 충격 후 17건(2.8%) 등이었다.

화재 발생 장소로는 공동주택 299건(48.9%), 거리·공터 117건(19.1%), 건물·수리점 116건(19%), 단독주택 65건(10.6%), 주차장 15건(2.5%) 순으로, 주거지에서의 발생 건수가 가장 많았다.

소방청은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 예방을 위해 올바른 이용수칙을 지킬 것을 당부했다. 먼저 공식 인증된 제품(KC인증 제품)을 구매하고, 사용 중 냄새나 소리·변색 등 이상현상이 감지되면 사용을 중지해야 한다고 밝혔다.

제품 고장 시 직접 수리하기보다 전문가에게 의뢰하는 것이 안전하다. 충전이 완료되면 전기 전원을 분리해야 한다.

소방청은 가연물이 많은 곳에서는 충전하지 않고, 고용량 배터리 충전은 벽면 콘센트에 직접 연결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밖에 뜨거운 차 안이나 직사광선, 가연물 근처에는 보관하지 않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