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적

티몬·위메프 미정산 사태

오창민 논설위원

여름 휴가철을 겨냥해 전자상거래업체 티몬과 위메프는 지난 5~6월 국내외 2500종 여행 상품의 대대적인 판촉을 벌였다. 회원은 5% 쿠폰 할인에 8% 카드사 할인을 더해 최대 13% 깎아준다고 홍보했다. 고물가 시대에 한 푼이라도 아껴볼 요량으로 사람들이 티몬에서 상품을 구매했다. 그런데 티몬이 여행사에 지금껏 대금 지급을 안 했고, 소비자들은 여행사로부터 일정이 취소됐다는 연락을 갑작스럽게 받았다. 휴가를 망친 건 둘째 문제고, 돈을 돌려받을 수 있을지 걱정이다.

티몬은 최근 상품권도 대폭 할인 판매했다. 티몬 캐시를 10% 할인했고, 해피머니상품권 5만원권을 4만6250원에, 컬쳐랜드상품권 5만원권을 4만6400원에 각각 판매했다. 배달앱 요기요 상품권도 7∼8% 싸게 팔았다. 그런데 티몬의 대금 지급을 의심하는 제휴사들이 일제히 티몬에서 판매한 상품권을 받지 않고 있다. 은행들도 선정산을 위한 대출 취급을 중단했다. 소비자들은 애가 탄다. 티몬에 전화해도 받지 않고, 전자메일로 항의해도 응답이 없다.

티몬과 위메프는 모두 싱가포르 플랫폼 기업 큐텐의 계열사다. 지난달 기준 결제 추정액만 티몬은 8398억원, 위메프는 3082억원인데 두 회사의 거래업체가 받지 못한 금액이 벌써 1000억원을 넘었다고 한다. 돌려막기식 사업을 하다 2021년 환불 대란이 발생한 ‘머지 포인트 사태’의 재판이라는 얘기도 나온다. 티몬과 위메프는 이미 자본잠식 상태다. 지난 4월 마감돼야 할 감사보고서는 현재까지도 제출되지 않았다. 이런데도 그동안 아무런 제약 없이 영업을 해왔다니 어이가 없다.

막대한 소비자 피해가 예상되고 티몬·위메프와 거래하는 6만여 중소업체로 유동성 위기가 확산하고 있지만, 당국의 대책은 보이지 않는다. 한기정 공정거래위원장은 24일 국회 정무위원회 업무보고에서 “미정산 문제는 민사상 채무 불이행 문제라 공정거래법으로 직접 의율이 어렵다”고 말했다. 금융감독원도 “채권·채무 문제”라며 발을 뺐다. 이러고도 윤석열 정부는 민생을 위한다고 할 수 있는가. 이번 사태는 규제 완화 만능주의가 불러온 참사다. 소비자를 보호하고 시장 신뢰 회복을 위한 전자상거래 규제가 촘촘해져야 한다.

서울 강남구 티몬 본사 모습. 연합뉴스

서울 강남구 티몬 본사 모습. 연합뉴스


Today`s HOT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식 중국의 춘절을 맞이하는 각 나라들의 모습 가자-이스라엘 휴전 합의, 석방된 팔레스타인 사람들 인도 공화국의 날
사람들의 인기를 끄는 상하이 EH216-S 헬리콥터 인도 벵갈루루에서 열린 이색 축제 '코믹콘'
프랑스의 해안선 후퇴를 막는 산림청과 어린이들의 노력 러시아의 베로니카 꺾고 8강 진출, 우크라이나의 엘리나
애들레이드 사이클링에 참가한 선수들과 우승한 다니엘 헨겔드 주현절을 맞이한 리투아니아의 풍경 1월이 가장 더운 파라과이, 개울에서 더위 식히는 사람들 트럼프 당선인의 취임 전 날 열린 승리 집회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