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미래권력’으로 돌아온 한…윤 대통령엔 ‘불편한 동거’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미래권력’으로 돌아온 한…윤 대통령엔 ‘불편한 동거’

권력의 무게추 이동 ‘긴장감’

남은 임기 3년에 특검법 이슈

한 대표 목소리 수용 불가피

윤석열 대통령과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의 불편한 동거가 24일 시작됐다. 3년의 임기가 남은 현직 대통령과 ‘반윤석열’ ‘미래권력’ 후보로 당선된 한 대표의 관계는 긴장감을 내포할 수밖에 없다. 권력의 무게추가 이동하는 상황이라 윤 대통령이 여당을 상대로도 정치력을 끌어올려야 하는 시간을 맞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윤 대통령은 이날부터 임기를 시작한 한 대표를 용산 대통령실로 초청해 저녁 식사를 함께했다. 전날 한 대표 당선 직후 전화통화도 했다. 신임 지도부와의 관계에 문제가 없음을 보여주겠다는 행보로 해석된다.

윤 대통령과 한 대표의 관계는 본질적으로 불편할 수밖에 없다는 평가가 나온다. ‘불편한 동거’의 기반에는 오랜 기간 ‘윗사람’이었던 윤 대통령의 힘이 더 이상 우세하지 않다는 데 있다. 한 대표는 전날 국민의힘 전당대회에서 62.84%라는 압도적인 득표율로 당선됐다. 한 국민의힘 관계자는 이날 통화에서 “다자대결에서 60%가 넘는 득표율이 나왔다는 것은 권력이동이 급격하게 나타났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문제는 윤 대통령에게 3년 가까운 임기가 남아 있고, 해병대 채 상병 특검법과 김건희 여사 특검법 등 윤 대통령이 ‘물러설 수 없는’ 이슈들이 산적해 있다는 점이다. 윤 대통령은 야당 공세를 방어하기 위해 당 장악력을 유지하는 동시에 한 대표와 협조 체제를 구축해야 하는 숙제를 안게 됐다. 윤 대통령의 의중에 따라 일사불란하게 움직이던 임기 초반의 모습은 기대하기 어려워졌다.

국민의힘 내에선 윤 대통령이 당의 목소리를 수용해야 한다는 여론이 크다. 한 국민의힘 중진 의원은 통화에서 “압도적인 지지로 출범한 지도부이기 때문에 윤 대통령이 당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며 “그게 서로가 잘되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말했다.

친윤석열(친윤)계에선 윤 대통령과 한 대표의 관계가 회복될 수 없을 거라는 관측도 나온다. 한 친윤계 의원은 “윤 대통령 입장에서 (정권을) 더불어민주당에 내주는 것은 최악의 선택지이지만 그렇다고 한 대표가 대통령이 되는 걸 받아들일 수는 없을 것”이라며 “(두 사람 사이) 타협이 되지 않을 것이다. 채 상병 특검법부터 의원들은 혼란에 빠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