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신원식, 일 언론에 “북, 유사시 핵무기 사용 시도 가능성”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신원식, 일 언론에 “북, 유사시 핵무기 사용 시도 가능성”

민간단체 대북전단 관련

“북, 거점 향해 공격할 수도”

신원식, 일 언론에 “북, 유사시 핵무기 사용 시도 가능성”

신원식 국방부 장관(사진)이 북한 핵무기에 대해 “실전 배치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개발완료 단계로 보인다”고 밝혔다.

신 장관은 24일 보도된 일본 요미우리신문 인터뷰에서 북한 전술핵에 대해 “사정거리에 주일미군 기지가 있는 지역도 포함돼 있어 북한이 유사시 핵 사용을 시도할 가능성이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신 장관은 북한이 “(민간단체가) 풍선(대북전단)을 날리는 거점을 총격이나 포격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지난 16일 김여정 북한 조선노동당 부부장이 언급한 대북전단에 대한 “대응방식의 변화”가 이 같은 행동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의미다. 북한이 대북전단을 공중에서 요격하거나, 지뢰·무인기(드론)를 이용해 도발할 가능성도 있다고 신 장관은 봤다.

신 장관은 러시아가 점령한 우크라이나 지역에 북한군이 파병될 가능성에 대해 “하나의 옵션으로 거론될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신 장관은 “전투부대는 아닌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해 복구 작업을 하는 공병부대가 파견될 가능성을 높게 점쳤다.

신 장관은 북한이 러시아에 탄도미사일을 “수십 발 제공했다”고 밝혔다. 북한 라진항에서 러시아 두나이항으로 운반된 컨테이너는 지난 15일 기준 최소 1만1000개 이상이라고 신 장관은 밝혔다. 이를 152㎜ 포탄으로 환산하면 520만발에 해당한다고 신 장관은 설명했다.

신 장관은 대만 유사 상황 발생 시 한국군과 주한미군의 대만 파견에 반대 입장을 밝혔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