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트럼프 재집권 땐 미 전기차 시장 위축… K-배터리도 영향”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트럼프 재집권 땐 미 전기차 시장 위축… K-배터리도 영향”

유진투자증권 분석 결과

오는 11월 미국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될 경우 현지 전기차 시장이 더욱 위축될 것이며, 이는 ‘K-배터리’ 산업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도널드 트럼프가 24일(현지시간) 노스캐롤라이나주 샬럿에서 유세를 하고 있다. 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가 24일(현지시간) 노스캐롤라이나주 샬럿에서 유세를 하고 있다. AP연합뉴스.

유진투자증권은 24일 글로벌 완성차업체와 자동차 관련 기관 자료 등을 분석한 결과 올해 미국 시장에서 전기차 판매량은 177만대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판매량은 매년 100만대 안팎 증가해 2030년에는 717만대에 이를 것으로 예측했다.

이는 지난해 3월 발표된 2024∼2030년 미국 내 전기차 판매 전망치보다 9∼12% 낮아진 수치다. 미국 전기차 시장의 이러한 위축은 일시적 수요 정체를 뜻하는 이른바 ‘캐즘’(Chasm) 현상과 글로벌 고금리 등에 따른 여파로 보인다.

만약 트럼프 전 대통령이 대선에서 당선된다면 전기차 판매량은 추가로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연비 규제나 전기차 보조금, 수입품 관세 정책 등에서 변화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자신이 대선에서 이긴다면 당선 첫 해 바이든 현 정부의 연비 규제를 폐지하겠다고 밝힌 상태다.

실제 트럼프 집권 1기 때인 2019∼2020년 2년간 미국 전기차 시장이 역성장한 사례도 있다. 2019년 미국 내 전기차 판매량은 전년 대비 11.5% 줄어든 31만9000대였고, 2020년에는 3.8% 감소한 30만7000대가 팔렸다.

미국 전기차 시장이 추가로 위축될 경우 K-배터리 산업에도 부정적 여파가 미칠 수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미시간주에 제너럴모터스(GM)와 함께 제3 공장을 짓다가 최근 작업을 일시 중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SDI도 인디애나주에 스텔란티스와 2곳, GM과 1곳을 계약해 건설 중이다.

한병화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트럼프 재집권 시 한국 완성차업체보다는 배터리업체들이 더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며 “미국 현지에서 대규모 배터리 공장을 짓거나 증설하는 기업은 타격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