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늙으면 왜, ‘나잇값’에 연연해할까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늙으면 왜, ‘나잇값’에 연연해할까

  • 김진세 정신과 전문의 mindhealth.kr

>> 젊고 늙음을 구분하는 건, 결국 자기 자신…나이를 잊자

늙으면 왜, ‘나잇값’에 연연해할까

“나잇값 못한다는 소리 들을까 봐 걱정이에요.” 가수 임영웅의 ‘찐팬’답게 하늘색 티셔츠까지 차려입은 할머니가 얼굴을 붉히셨다. 덕분에 인생이 즐거워졌다면서도 목소리에는 수줍음이 실렸다. 노인이 되면 왜 나잇값에 민감해질까?

7월11일 세계인구의날을 맞아 여론조사기관 갤럽이 39개국 국민을 대상으로 ‘스스로 더는 젊지 않다고 느끼는 나이’와 ‘스스로 늙었다고 느끼기 시작한 나이’에 관해 조사했다. 그 결과 우리나라 20대 젊은이는 36세가 되면 젊지 않다고, 또 42세가 되면 늙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반면 60~70대 노인은 65세가 되어야 젊지 않다고 느끼며 75세나 되어야 늙었다고 판단한다.

사실 늙음을 부정하는 것은 정신방어기제일 수 있다. 삶의 도움도 되는 긍정적인 부분도 있다. 요즘 사람들 말로 정신승리 아닌가.

김진세 정신과 전문의

김진세 정신과 전문의

42세가 되면 늙었다고 생각하는 젊은이에게 70대의 노인은 말 그대로 ‘넘사벽’이고, 반대로 노인에게 젊은이는 잊힌 세월일 뿐이다. 문제는 넘어서질 못하고 기억하질 못하니 이해를 못하고, 갈등과 반목이 점점 심해진다. 서로를 알고 이해하기 위한 노력은 스스로를 지키려는 노력만큼 중요하다. 알면 알수록 서로 사랑하게 된다. 까짓 나이가 무슨 대수라고.

  • AD
  • AD
  • AD

연재 레터를 구독하시려면 뉴스레터 수신 동의가 필요합니다. 동의하시겠어요?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콘텐츠 서비스(연재, 이슈, 기자 신규 기사 알림 등)를 메일로 추천 및 안내 받을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아니오

레터 구독을 취소하시겠어요?

구독 취소하기
뉴스레터 수신 동의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안녕하세요.

연재 레터 등록을 위해 회원님의 이메일 주소 인증이 필요합니다.

회원가입시 등록한 이메일 주소입니다. 이메일 주소 변경은 마이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
보기
이메일 주소는 회원님 본인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합니다. 이메일 주소를 잘못 입력하신 경우, 인증번호가 포함된 메일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뉴스레터 수신 동의
닫기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로 인증메일을 발송했습니다. 아래 확인 버튼을 누르면 연재 레터 구독이 완료됩니다.

연재 레터 구독은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