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검찰, ‘대장동 50억 클럽 의혹’ 권순일 전 대법관 소환조사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검찰, ‘대장동 50억 클럽 의혹’ 권순일 전 대법관 소환조사

지난해 10월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박수영 국민의힘 의원이 공개한 ‘50억 약속 그룹’의 명단. 박영수 전 특별검사, 곽상도 전 국민의힘 의원, 김수남 전 검찰총장, 최재경 전 청와대 민정수석 등 검찰 출신 인사들과 권순일 전 대법관이 포함됐다.  국회사진기자단

지난해 10월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박수영 국민의힘 의원이 공개한 ‘50억 약속 그룹’의 명단. 박영수 전 특별검사, 곽상도 전 국민의힘 의원, 김수남 전 검찰총장, 최재경 전 청와대 민정수석 등 검찰 출신 인사들과 권순일 전 대법관이 포함됐다. 국회사진기자단

이른바 ‘대장동 50억 클럽’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권순일 전 대법관을 소환조사했다.

31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3부(부장검사 이승학)는 이날 변호사법 위반 등 혐의를 받는 권 전 대법관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지난 3월 권 전 대법관 사무실을 압수수색한 지 4개월 만이다.

권 전 대법관은 대법관 임기가 끝난 뒤인 2020년 11월부터 2021년 9월 사이 대장동 개발 민간업자 김만배씨가 대주주인 화천대유자산관리에 고문으로 재직하며 변호사 등록 없이 변호사로 활동한 혐의 등을 받는다. 권 전 대법관은 이 기간에 고문료로 총 1억5000만원을 받았다.

검찰은 이 고문료가 이른바 ‘재판 거래’ 의혹과 연관성이 있는지도 수사 중이다. 대법원 전원합의체는 2020년 7월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상고심에서 원심이 선고한 당선무효형인 벌금 300만원을 파기하고 무죄 취지로 파기환송했다. 당시 대법관들의 의견이 팽팽하게 나뉘었는데, ‘캐스팅보트’를 쥔 권 전 대법관은 무죄 의견을 냈다.

대장동 개발 비리 의혹이 불거진 뒤 김씨가 이 전 대표에 대한 대법 선고를 전후해 여러 차례 권 전 대법관 집무실을 방문한 사실이 알려졌다. 권 전 대법관이 이 판결의 대가로 화천대유 고문으로 영입됐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당사자들은 의혹을 전면 부인하고 있다. 검찰은 지난 3월 권 전 대법관의 변호사 사무실을 압수수색할 당시 영장에 변호사법 위반 혐의만 적시했지만, 재판 거래 등 제기된 의혹 전반의 사실관계를 규명해나갈 것이라고 밝힌 적이 있다.

권 전 대법관은 대장동 사건과 관련해 2021년 11월 검찰 소환 조사를 받았다. 그는 대장동 개발업자들로부터 거액을 받거나 약속받았다는 의혹이 제기된 ‘50억 클럽’ 인사 6명 중 한 명이다.

검찰은 ‘50억 클럽’으로 거론된 인사 중 곽상도 전 의원과 박영수 전 특별검사를 이미 기소했다. 홍선근 머니투데이 미디어그룹 회장은 최근 소환조사를 받았다. 최재경 전 청와대 민정수석, 김수남 전 검찰총장에 대해서는 서면조사가 이뤄졌다.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