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깊고 맛있는 천일염, 짠맛은 빛과 땀과 ‘기다림’이 만든다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깊고 맛있는 천일염, 짠맛은 빛과 땀과 ‘기다림’이 만든다

  • 정지윤 기자
[금주의 B컷]깊고 맛있는 천일염, 짠맛은 빛과 땀과 ‘기다림’이 만든다

바다가 우리에게 선사하는 혜택 중의 하나가 소금이다. 여러 가지 소금이 있지만 미네랄 함량이 많은 천일염은 인기가 높다. 천일염은 바닷물을 모은 뒤 햇빛과 바람의 작용으로 수분을 증발시켜 만든다. 그래서 시간이 오래 걸린다. 햇빛이 강한 여름은 소금 채취에 알맞은 계절이다. 염전 사진을 찍기에도 제격이다.

지난 주말 수도권에 남아 있는 염전 한 곳을 찾았다. 경기 화성시 매화리의 공생염전이다. 쨍쨍한 햇볕 덕분에 염전 구석구석 소금이 영글었을 거라 기대했다. 하지만 웬걸, 도착한 염전은 고요하기만 했다. 바둑판처럼 생긴 염전의 경계에 나무 밀대와 노란 수레만 반듯하게 놓여 있었다.

한참 때인데 무슨 일이 있는 걸까. 이리저리 둘러보다가 염부 한 분을 만났다. 새까만 얼굴의 그는 장마철에는 작업하지 않는다고 알려주었다. 애써 모아놓은 소금이 비를 맞으면 녹아버리기 때문이란다. 염부에게는 장마철이 무급휴가인 셈이었다. 휴가를 마다할 사람이 없겠지만 일손을 놓고 있는 그의 속은 까맣게 타고 있을 것 같았다. 돌아오는 길, 라디오에서 전국의 장마가 끝났다는 뉴스가 흘러나왔다.

  • AD
  • AD
  • AD

연재 레터를 구독하시려면 뉴스레터 수신 동의가 필요합니다. 동의하시겠어요?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콘텐츠 서비스(연재, 이슈, 기자 신규 기사 알림 등)를 메일로 추천 및 안내 받을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아니오

레터 구독을 취소하시겠어요?

구독 취소하기
뉴스레터 수신 동의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안녕하세요.

연재 레터 등록을 위해 회원님의 이메일 주소 인증이 필요합니다.

회원가입시 등록한 이메일 주소입니다. 이메일 주소 변경은 마이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
보기
이메일 주소는 회원님 본인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합니다. 이메일 주소를 잘못 입력하신 경우, 인증번호가 포함된 메일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뉴스레터 수신 동의
닫기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로 인증메일을 발송했습니다. 아래 확인 버튼을 누르면 연재 레터 구독이 완료됩니다.

연재 레터 구독은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