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경기 중 ‘구토 투혼’···배드민턴 한국 선후배 명승부에 관중 기립박수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경기 중 ‘구토 투혼’···배드민턴 한국 선후배 명승부에 관중 기립박수

김원호·정나은, 세계 2위 서승재·채유정 꺾고 결승행

김원호-정나은이 2일 파리올림픽 혼합복식 결승에 진출한 뒤 끌어안고 기뻐하고 있다. 파리 | 연합뉴스

김원호-정나은이 2일 파리올림픽 혼합복식 결승에 진출한 뒤 끌어안고 기뻐하고 있다. 파리 | 연합뉴스

대이변이 일어났다. 김원호(25)-정나은(24)이 서승재(27)-채유정(29)을 꺾고 2024 파리올림픽 배드민턴 혼합복식 결승에 진출했다. 최소 은메달을 확보했다.

김원호-정나은은 2일 프랑스 파리 포르트드라샤펠 아레나에서 열린 2024 파리올림픽 배드민턴 혼합복식 준결승에서 서승재-채유정을 2-1(21-16 21-23 23-21)로 꺾었다.

김원호-정나은은 세계랭킹 8위로 세계 2위인 서승재-채유정을 한 번도 이겨본 적이 없다. 상대전적 5전 전패였으나 올림픽 무대에서 처음으로 승리했다.

지난 1일 서승재-채유정에 이어 김원호-정나은도 4강에 진출하면서 한국 팀끼리 맞대결이 성사됐고 동시에 은메달도 확보됐다. 김원호-정나은은 조별예선에서 1승2패를 했지만 같은 조에서 동률이 나오면서 득실 차에서 앞서 8강에 올랐다.

전승을 거두고 올라온 서승재-채유정이 객관적으로 앞서리라는 전망을 뒤엎고 김원호-정나은이 1게임을 잡아버렸다. 그리고 매게임 접전이었다. 2게임은 서승재-채유정이 앞서나갔고 김원호-정나은이 20-20 듀스를 만들었지만, 김원호의 범실과 서승재의 드롭샷으로 승부는 3게임으로 갔다.

김원호-정나은이 2일 파리올림픽 배드민턴 혼합복식 4강전을 치르고 있다. 파리 | 연합뉴스

김원호-정나은이 2일 파리올림픽 배드민턴 혼합복식 4강전을 치르고 있다. 파리 | 연합뉴스

3게임, 서승재-채유정이 안정감을 찾았고 10-5까지 달아났으나 김원호-정나은은 다시 페이스를 올려 10-10 동점을 만들었다. 이후 랠리가 계속됐다. 토할 정도로 온힘을 다해 뛰었다. 김원호는 막판에 메디컬타임을 요청해 의료진에게서 받은 주머니에 구토를 하기도 했다. 이후 경기를 이어갔고 정나은이 침착하게 받아쳤다. 결국 21-21까지 듀스 승부가 이어졌고 여기서 김원호-정나은이 2점을 가져가 승부를 끝냈다.

한국 배드민턴이 올림픽에서 결승에 오른 것은 전종목을 통틀어 2008년 베이징올림픽 이후 처음이다. 당시 이용대-이효정이 혼합복식 금메달, 이효정-이경원이 여자복식 은메달을 차지한 것을 마지막으로 한국은 2012년 런던부터 2021년 도쿄까지 3연속 아무도 결승에 가지 못했다. 2012년 런던에서 정재성-이용대가 남자복식 동메달,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정경은-신승찬과 2021년 도쿄에서 김소영-공희용이 각각 여자복식 동메달을 딴 것이 유일한 메달이었다.

김원호-정나은(왼쪽)이 2일 파리올림픽 배드민턴 혼합복식 4강전에서 승리하자 서승재-채유정이 축하해주고 있다. 파리 | 연합뉴스

김원호-정나은(왼쪽)이 2일 파리올림픽 배드민턴 혼합복식 4강전에서 승리하자 서승재-채유정이 축하해주고 있다. 파리 | 연합뉴스

한국 팀끼리 4강에서 만나면서 한국의 은메달은 확보된 상태였으나 그 주인공이 후배 김원호-정나은이라는 점은 이변이다. 김원호-정나은은 현재 세계랭킹 8위다.

김원호-정나은은 이제 2008년 베이징올림픽의 이용대-이효정 이후 16년 만의 혼합복식 금메달에 도전한다. 2일 밤 중국의 젱시웨이-황야총(중국)과 결승에서 격돌한다. 세계랭킹 1위의 최강자이며 김원호-정나은이 조별예선 최종전에서 패했던 상대이기도 하다.

김원호는 1992년 바르셀로나올림픽 여자복식 동메달, 1996 애틀랜타올림픽 혼합복식 금메달과 여자복식 은메달을 차지했던 길영아 전 삼성생명 감독의 아들이다. 배드민턴 최초의 올림픽 메달리스트 모자는 이미 탄생했고, 금메달리스트 모자도 나올 수 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