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정상외교 일정 수행하다 쓰러진 외교부 국장 면직

정희완 기자

김은영 전 국장, 1월 말부로 면직 처분

뇌출혈로 아직 의식 명확하지 않은 상태

윤 대통령도 위로전 및 위로금 전달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 연합뉴스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 연합뉴스

약 6년 전 대통령의 정상외교 일정을 수행하다가 뇌출혈로 쓰러진 김은영 전 외교부 남아시아태평양국장이 퇴직하게 됐다. 국가공무원법상 질병 휴직 기한 5년이 만료됐기 때문이다. 김 전 국장은 현재도 의식이 명확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는 2일 김 전 국장에 대해 면직 결정을 내렸다고 밝혔다. 김 전 국장은 2018년 11월 동남아시아국가연합(아세안) 관련 정상회의가 개최된 싱가포르에서 문재인 당시 대통령의 일정을 수행하다가 자신의 숙소에서 의식을 잃은 채 발견됐다. 뇌출혈 증세를 보인 김 전 국장은 현지에서 긴급 수술을 받은 뒤 국내로 이송됐다. 당시 문 대통령은 페이스북에 “김 국장은 이번 아세안 관련 여러 회의와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회의까지 실무 총괄했다. 과로로 보인다. 매우 안타깝다”며 “꼭 회복되길 기원한다”고 썼다. 그는 또 “외교무대에 대통령만 보이지만, 많은 공무원들의 보이지 않는 노고가 바탕에 있다는 것을 다시 한번 절감한다”고 했다.

이후 김 전 국장은 2018년 12월 인사혁신처로부터 공무상 요양 승인을 받아 질병 휴직에 들어갔다. 국가공무원법상 질병 휴직은 최대 5년까지 가능해 지난 1월 말부로 휴직이 종료됐다. 그러나 김 전 국장은 아직 의식이 불명확해 소통이 어려운 것으로 전해졌다. 외교부 당국자는 “김 전 국장의 건강 상태를 고려하면 현재 업무 복귀가 어려운 상황”이라며 “관계부처와 함께 ‘복직 후 병가’나 ‘명예퇴직’ 등 여러 대안을 검토했으나 현행법상 면직이 불가피했다”라고 말했다.

외교부는 김 전 국장의 치료비와 병간호비를 지원하기 위해 모금을 진행하기도 했다. 또 김 전 국장에게 응원의 메시지를 남길 수 있는 게시판도 운영했다. 윤석열 대통령도 김 전 국장 가족에게 위로전과 위로금을 전달했다.

김 전 국장은 1994년 외교부에 들어와 서남아태평양과장, 시드니대 국제안보연구소 객원연구원, 호주 주재 참사관 등을 역임했다. 2018년 3월 남아시아태평양국장에 보임됐다. 이는 외교부 내 지역 국장 자리에 여성이 임명된 최초 사례다.


Today`s HOT
달러와 연료 부족난을 겪는 볼리비아 사람들 175명씩 전쟁 포로 교환, 돌아온 우크라이나 군인들 라마단을 위한 무료 문신 제거 서비스 예루살렘에서 일어난 전쟁 종식 시위
동물원에서 엄마 곰의 사랑을 받는 아기 곰 '미카' 대피 명령 경보 떨어진 베이트 하눈을 떠나는 사람들
밤새 내린 폭우, 말라가주에 목격되는 피해 현장 런던의 어느 화창한 날, 공원에서의 시민들
베르크하임 농장에서의 어느 한가로운 날 페르시아 새해를 앞두고 이란에서 즐기는 불꽃 축제 아름다운 선행, 구조 대원들에 의해 살아난 동물들 시드니 풋볼 월드컵 예선을 준비하는 호주 선수들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