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대통령 정상외교 일정 수행하다 쓰러진 외교부 국장 면직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대통령 정상외교 일정 수행하다 쓰러진 외교부 국장 면직

입력 2024.08.02 16:26

김은영 전 국장, 1월 말부로 면직 처분

뇌출혈로 아직 의식 명확하지 않은 상태

윤 대통령도 위로전 및 위로금 전달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 연합뉴스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 연합뉴스

약 6년 전 대통령의 정상외교 일정을 수행하다가 뇌출혈로 쓰러진 김은영 전 외교부 남아시아태평양국장이 퇴직하게 됐다. 국가공무원법상 질병 휴직 기한 5년이 만료됐기 때문이다. 김 전 국장은 현재도 의식이 명확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는 2일 김 전 국장에 대해 면직 결정을 내렸다고 밝혔다. 김 전 국장은 2018년 11월 동남아시아국가연합(아세안) 관련 정상회의가 개최된 싱가포르에서 문재인 당시 대통령의 일정을 수행하다가 자신의 숙소에서 의식을 잃은 채 발견됐다. 뇌출혈 증세를 보인 김 전 국장은 현지에서 긴급 수술을 받은 뒤 국내로 이송됐다. 당시 문 대통령은 페이스북에 “김 국장은 이번 아세안 관련 여러 회의와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회의까지 실무 총괄했다. 과로로 보인다. 매우 안타깝다”며 “꼭 회복되길 기원한다”고 썼다. 그는 또 “외교무대에 대통령만 보이지만, 많은 공무원들의 보이지 않는 노고가 바탕에 있다는 것을 다시 한번 절감한다”고 했다.

이후 김 전 국장은 2018년 12월 인사혁신처로부터 공무상 요양 승인을 받아 질병 휴직에 들어갔다. 국가공무원법상 질병 휴직은 최대 5년까지 가능해 지난 1월 말부로 휴직이 종료됐다. 그러나 김 전 국장은 아직 의식이 불명확해 소통이 어려운 것으로 전해졌다. 외교부 당국자는 “김 전 국장의 건강 상태를 고려하면 현재 업무 복귀가 어려운 상황”이라며 “관계부처와 함께 ‘복직 후 병가’나 ‘명예퇴직’ 등 여러 대안을 검토했으나 현행법상 면직이 불가피했다”라고 말했다.

외교부는 김 전 국장의 치료비와 병간호비를 지원하기 위해 모금을 진행하기도 했다. 또 김 전 국장에게 응원의 메시지를 남길 수 있는 게시판도 운영했다. 윤석열 대통령도 김 전 국장 가족에게 위로전과 위로금을 전달했다.

김 전 국장은 1994년 외교부에 들어와 서남아태평양과장, 시드니대 국제안보연구소 객원연구원, 호주 주재 참사관 등을 역임했다. 2018년 3월 남아시아태평양국장에 보임됐다. 이는 외교부 내 지역 국장 자리에 여성이 임명된 최초 사례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