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폭우 아니면 폭염, 밥상은 울상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폭우 아니면 폭염, 밥상은 울상

오락가락 날씨, 먹거리 물가 불안

폭우 아니면 폭염, 밥상은 울상

채소류, 병충해 확산·생육 부진
배추 가격 평년보다 29.5% 비싸
상추·시금치 등도 급등세 뚜렷
가축·어패류 폐사 신고 잇따라

지난달 장마와 폭염이 이어지면서 배추 가격이 1년 전보다 20%가량 올랐다. 이미 채소류 가격이 많이 오른 상태여서 먹거리 물가 불안이 더 커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4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농경연)의 ‘농업관측 8월호’ 보고서에 따르면 이달 배추 도매가격은 10㎏에 1만6000원으로 예측됐다. 1년 전과 비교해 19.3% 높고, 평년(2019~2023년) 평균치보다 29.5% 비싸다.

배추 가격이 급등할 것으로 전망하는 이유는 재배지 면적 감소와 작황 부진에 따른 출하량 감소 영향 때문이다. 올해 여름 배추 재배면적은 4914㏊(헥타르·1㏊는 1만㎡)로 지난해보다 6.2% 줄었다. 또 지난달 잦은 비와 무더위로 인해 병충해가 확산하고 생육이 부진해 10a(아르·1a는 100㎡)당 생산단수가 지난해보다 1.0%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로 인해 여름 배추 생산량은 34만t으로 예상됐다. 이는 1년 전보다 7.2%, 평년에 비해 9.1% 줄어든 수준이다.

농경연은 이달 당근 도매가격도 20㎏에 7만5000원으로 1년 전보다 8.7%, 평년보다 105.1% 각각 높을 것으로 전망했다.

채소류 가격은 지난달 집중호우로 인해 이미 크게 오른 상황이다. 통계청의 7월 소비자물가를 보면, 전체 소비자물가는 넉 달 연속 2%대 오름세를 기록하면서 안정된 흐름을 이어갔지만, 농산물은 1년 전과 비교해 9.0%나 상승했다. 특히 채소류는 전월 대비로 상추 57.2%, 시금치 62.1%, 배추 27.3% 등 오름세가 뚜렷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채소류 수급 안정을 위해 무·배추 가용물량 2만8000t(무 5000t, 배추 2만3000t)을 방출하고 있으며, 부족할 경우 최대 일 300t까지 방출량을 늘릴 계획이다. 또 배추 소비자가격 안정을 위해 7월 말부터 대형마트에 직공급하고 있으며, 필요하면 추가 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채소류뿐 아니라 가축 폐사와 양식장 피해도 잇따르는 등 폭염이 기승을 부리면서 전체 먹거리 물가 불안이 커지고 있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기준 불볕더위로 닭 19만9000마리, 돼지 1만5000마리 등 가축 21만6000마리가 폐사했다. 지난 1일 제주 한경면 육상 양식장 5곳에서 광어 3600여마리가 폐사하는 등 올 들어 처음 고수온으로 인한 양식장 어패류 폐사 신고도 접수됐다. 해양수산부는 서해와 남해의 내만을 중심으로 수온이 급격히 오르자 지난달 31일 고수온 위기경보 ‘심각 1단계’를 발령한 바 있다.

농경연 관계자는 “지난해에도 폭우와 폭염 등으로 인해 농산물 수급이 차질을 빚으면서 가격이 크게 올랐는데, 올해는 기상 여건이 지난해보다 더 우려스러운 상황”이라며 “특히 재배면적까지 줄어든 배추의 경우 작황 부진 영향으로 8월과 9월 가격이 1년 전보다 더 오를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