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중국 ‘재고 떨이’ 대공세…국내 기업 70% “타격”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중국 ‘재고 떨이’ 대공세…국내 기업 70% “타격”

상의, 2228곳 설문…“실제 매출 영향” 27%, “향후 피해” 42%

배터리·섬유·화장품 등 ‘울상’…자동차·의료·제약엔 영향 미미

중국 ‘재고 떨이’ 대공세…국내 기업 70% “타격”

중국의 저가 밀어내기 공세에 국내 기업 10곳 중 7곳꼴로 매출·수주에 영향을 받았거나 향후 피해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중국 내 완제품 재고 물량이 다시 증가세를 보이고 있어, 중국산 저가 공세가 상당 기간 지속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6일 대한상공회의소에 따르면 국내 제조기업 2228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의 27.6%가 중국 제품의 저가 수출로 ‘실제 매출·수주 등에 영향이 있다’고 답했다. ‘현재까지는 영향이 없으나 향후 피해 가능성이 있다’고 답한 기업은 42.1%였다.

중국 기업의 저가 공세에 따른 피해는 국내 내수시장보다 해외 수출시장에서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실적에 영향이 있다’고 답한 수출기업은 37.6%로 내수기업(24.7%)을 크게 앞섰다.

업종별로도 명암이 엇갈렸다. ‘이미 경영 실적에 영향이 있다’고 응답한 비중을 살펴보면 배터리 기업(61.5%)이 가장 높았다. 섬유·의류(46.4%), 화장품(40.6%), 철강금속(35.2%) 등도 피해를 호소했다. 주요 피해(복수응답)는 ‘판매단가 하락’(52.4%), ‘내수시장 거래 감소’(46.2%) 등이었다.

반면 자동차(22.3%), 의료정밀(21.4%), 제약·바이오(18.2%), 비금속광물(16.5%), 식음료(10.7%) 등은 저가 공세에 따른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었다.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중국의 완제품 재고율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소비와 부동산 경기 침체로 2020년 10월 6.94%에서 2022년 4월 20.11%로 급상승했다. 이후 중국 기업이 과잉 생산된 재고를 해외에 저가로 수출하면서 재고율은 2023년 11월 1.68%까지 떨어졌다. 그러나 중국의 경기 부진이 계속되면서 재고율은 지난 6월 4.67%로 다시 높아졌다.

중국 ‘재고 떨이’ 대공세…국내 기업 70% “타격”

중국의 추격이 가속화하면서 국내 기업이 수년 내에 기술력을 추월당할 수 있다는 답변도 나왔다.

최근 5년간 중국 경쟁 기업과의 기술력 및 품질경쟁력 차이를 묻는 질문에 26.2%만이 ‘계속 우위에 있다’고 응답했다. 반면 ‘우위에 있으나 기술격차가 축소됐다’는 응답은 47.3%로 2배 가까이 많았다. ‘비슷한 수준까지 추격당했다’(22.5%), ‘중국 기업에 추월당했다’(3.0%)는 응답도 적잖았다.

현재 중국 기업보다 기술력이 우위에 있거나 비슷한 수준이라고 응답한 기업들을 대상으로 향후 중국 기업의 추월 시점 전망을 물어본 결과, ‘4~5년 이내’라고 응답한 기업이 39.5%로 가장 많았다. ‘2~3년 이내’를 꼽은 기업은 28.7%였다. ‘1년 이내’라고 응답한 기업까지 합하면 응답 기업의 73.3%가 “5년 이내에 중국 기업이 기술력에서도 국내 기업을 앞설 것”으로 예상했다. 강석구 대한상의 조사본부장은 “우리 기업이 해외수입품에 대해 신청한 반덤핑 제소 건수가 통상 연간 5~8건인 데 비해 올해는 상반기에만 6건이 신청됐다”며 “글로벌 통상 분쟁이 갈수록 확대되는 상황에서 정부의 대응 기조도 달라져야 한다”고 밝혔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